당초 계획안 7곳 민간업체 예산부족 등 이유 4곳으로 줄여 “좋은 시설도 주민이 불편하면 무용지물”… 추가 개설 강조
“지하철 건설은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7만여 명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신천역사 출구의 축소는 주민들에게 불편을 감내하라는 부당한 일입니다.”
이종갑 신천역사 출입구 설치 추진위원장은 신천역사 출입구 추가 개설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는 “소사∼원시 복선전철 신천역사의 당초 정부 계획안에는 7개소로 계획돼 있던 것이 민간업체인 이레일(주)가 선정되면서 4개소로 축소됐다”며 “주민들이 애용하는 삼미시장과 오일뱅크 방향 출입구가 계획에서 빠진 것은 지하철 공사 자체가 무의미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아무리 좋은 계획에다가 좋은 시설을 만들지라도 그 시설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하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라며 현재의 잘못된 신천역사 출입구 조성계획을 꼬집었다.
이레일(주) 측은 지난 2008년 공사추진 이후, 삼미시장 방향 하천(신천천) 밑으로 출입구를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상의 어려움과 예산 부족의 이유를 들어 7개소의 기본계획안을 수정, 삼미시장, 오일뱅크 방향 출입구가 계획에서 빠진 것은 지하철 공사 자체가 무의미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아무리 좋은 계획에다가 좋은 시설을 만들지라도 그 시설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하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라며 현재의 잘못된 신천역사 출입구 조성계획을 꼬집었다.
이레일㈜ 측은 지난 2008년 공사추진 이후, 삼미시장 방향 하천(신천천) 밑으로 출입구를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상의 어려움과 예산 부족의 이유를 들어 7개소의 기본계획안을 수정, 삼미시장, 오일뱅크 뱡향 출입구를 제외한 4개소만 시공한다는 계획으로 현재 공사를 진행중이다.
이에 따라 이 추진위장은 지난 7월27일 삼미시장 일원에서 출입구 추가설치를 요구하는 지역주민 궐기대회를 개최한데 이어 8월7일 시민 1만660명으로부터 신천역사 추가개설을 요구하는 서명을 받아 국토교통부와 이레일㈜ 측에 전달했다.
이 위원장은 “주민들의 이용이 적은 방향으로 출입구를 내고 이용률이 높은 삼미시장과 오일뱅크 방향의 출입구를 제외한 것은 위정자들의 한심한 작태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하천 밑으로 출구를 시공하는데 돈이 좀 더 든다고 해서 출구를 만들지 않는 것은 국가의 백년대계를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위원장은 “생활여건, 지역정서 등 누구보다 지역실정을 잘 아는 주민들에게 선택의 우선권이 부여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출입구의 추가 개설만이 주민들이 안전확보, 이동 편리성, 지역상권의 활성화의 관건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줄 것”을 정치권과 관계 당국에 촉구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