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과 경기도민의 무관심, 지방자치단체·해양수산부·황해경제자유구역청 등의 이해관계 상충이 평택·당진항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해양연구소장 이동현 교수는 10일 중국 웨이하이(威海)시에서 열린 ‘2013 평택항 물류 활성화를 위한 사업설명회’에 앞서 열린 ‘평택항의 문제점과 미래발전방향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하고 현재 공유수면 매립지 관할권과 국제여객터미널 건립, 연륙교 건설 등에서 충돌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유수면 매립지 관할권은 경기도와 충청남도, 평택시와 당진시가 해상에 지자체의 경계선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논란으로 행정구역 확장에 따른 세수증대 및 관할권 확대를 놓고 한치의 양보 없이 맞서고 있다. 또 국제여객터미널 건립은 경기도, 평택시, 해양수산부가 이해관계자로 현행 터미널 확장과 신설부두 건설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충남 당진시에서 평택·당진항 서부두를 연결하는 연륙교 건설을 놓고 당진시는 서부두에 대한 관할권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 시급히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평택시는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우려해 반대하는 입장이다.
황해경제자유구역청도 항만 배우단지 개발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어 지자체와 잦은 갈등을 빚고 있다.
이 교수는 갈등의 원인으로 평택항의 미래 발전을 책임지고 이끌어 갈 수 있는 주도 세력의 부재를 꼽았다. 항만 관리권은 해양수산부 평택지방해양항만청이 행사하는 가운데 관할권을 갖고 갈등을 벌이는 평택시와 당진시, 경기도와 충청남도의 모습에서 평택·당진항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평택시·경기평택항만공사는 항만배후지역과 국제여객터미널 등을 담당하고 있으나 항만 및 수역 관리권이 없어 항만 발전에 대한 역할이 사실상 봉쇄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택항은 수도권과 충청권의 물류 수요처리에 이상적이며 한·중 교역지원 항만으로 최적의 입지 여건을 확보하고 있어 발전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교수는 평택항 발전방향으로 화물 공급망 경쟁력 강화, 항만과 배후지역 연계성 강화, 선사와 포워더에 대한 마케팅, 배후지역 물류망 통합 등을 제시했다.
그는 다양한 주체간, 지방자치단체간 갈등 및 충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항만과 도시의 경쟁력을 책임지고 이끌어 나가는 주도기관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경기지역 51명의 국회의원과 수백명의 기초·광역의원 등 정치권의 소극적인 역할, 평택시와 경기도민의 무관심 등이 평택항을 국책항으로 발전시키지 못했다”며 “1차적으로 평택과 당진지역 정치인이 협력하고, 2차적으로 경기도내 정치인이 협력하는 시스템을 갖추면 평택항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기자 chy4056@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