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가 소유하고 있는 시유지 및 공유수면 등에 대한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나 경기침체에 이은 해당 지역의 시설부재 등으로 인해 매각 추진이 잇따라 지연되고 있어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공유재산인 단원구 신길동 소재 신길온천지구 63블럭과 대부도 공유수면(일반상업지역)에 대한 매각 계획을 수립한 뒤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신길온천지구 63블럭의 경우 시가 지난 1998년 수자원공사로부터 5만500여㎥ 규모의 부지를 매입한 뒤 2006년 당시 건교부로부터 ‘안산신길온천국민임대주택건설사업’ 지구로 승인을 받았다.
이후 시는 근린생활시설인 미매각 대상지를 제외한 나머지 4만2천200여㎥에 대해 국토부와 경기도로부터 ‘국민임대주택건설’ 사업부지로 승인 받아 LH공사가 이를 매입한 뒤 임대주택건설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LH공사가 재무여건 악화를 이유로 해당 부지의 매입(금액 370억원)을 미루면서 잇따라 사업 지연 통보를 하고 있어 시가 매각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와 함께 시가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대부북동 1961 일대 공유수면 3만1천100여㎥ 부지는 매각 대금이 470억원에 달하고 있으나 인근 공유수면과 연계할 수 있는 핵심 관광테마 시설과 대중교통시설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지난해 실시한 매각입찰 공고에서 매각 금액을 20%나 감액 했으나 6차례에 걸쳐 유찰됐다.
또한 올해에도 두 차례에 걸쳐 매각입찰 공고를 실시했으나 높은 가격과 상업지역 전체 부지매각 조건을 고집하고 있어 새로운 매각 추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대부도 공유수면의 경우 전체 부지가 아닌 분할 매각을 추진하지 않는다면 거래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관광테마 및 교통 문제 등도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난개발 등을 우려해 분할 매각을 하지 않고 있으며 지난해 30% 이하의 낮은 가격에 매각을 추진하려 했으나 시의회의 반발이 있었다”며 “63블럭은 LH공사가 사업포기를 하지 않은 채 게속해서 사업 추진을 고집하고 있어 시간이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