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적정 수면시간, 하루 8시간 이상 자면 빨리 죽는다?

'한국인 적정 수면시간'

한국인의 하루 적정 수면시간은 '7~8시간'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 교수팀은 지난 1993년부터 경남 함안, 충북 충주 등 4개 지역에 거주하는 건강인 1만3천164명을 15년 이상 추적해 2010년까지 확인된 1천580명 사망자의 수면 시간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하루 수면시간을 5시간 이하, 6시간, 7시간, 8시간, 9시간, 10시간 이상으로 분류해 각 수면 시간 군에 따라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하루 7~8시간 수면군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8시간'에 비해 수면시간이 짧거나 길수록 사망률은 증가했다. 특히 7시간 수면군에 비해 5시간 이하 수면군은 21%P, 10시간 이상 수면군은 36%P 사망률이 높았다.

특히 주목할 점은 더 많이 잔 쪽이 덜 잔 쪽보다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 것.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한 사망자의 경우 하루 7시간 수면군에 비해 5시간 이하 수면군은 40%P, 10시간 이상 수면군은 사망률이 37%P 높게 나타났다.

유근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적정 수면을 취하지 않는 경우 사망 위험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라며 "하루 7~8시간의 수면이 한국인의 적정 수면시간임이 규명됐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많이 자는게 오히려 독이 될 줄이야", "한국인 적정 수면시간만큼 자는 사람도 있을까?", "지키도록 노력해야겠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김예나 기자 yena@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