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 시민·사회단체 참여 ‘재배치 대책위’ 실무협의
동두천 미군기지 잔류 검토 계획에 뿔난 동두천시민·사회단체가 총 참여해 구성된 ‘미군 재배치 범시민대책위원회’가 2일 본격적인 대정부 투쟁을 위한 실무협의에 나섰다.
지난 2월 창립총회와 함께 구성된 미군 재배치 범시민대책위원회(위원장 한종갑)는 이날 오전 시청회의실에서 임원회의를 열고 대정부 요구사항을 비롯한 당면한 향후 활동방향 등에 대해 논의를 했다.
대정부 투쟁 수위에 이목이 집중된 임원회의에는 오세창 시장과 박형덕 시의회의장을 비롯한 대책위 임원 등 21명이 참석했다.
대책위는 협의를 통해 △반환예정 미군기지의 신속한 반환 △반세기 국가안보 희생에 대한 정부차원의 획기적 지원 △동두천 미군기지 잔류시 충분한 협의 등 3개항의 대정부 요구사항을 확정했다.
이를 위해 우선 시민들의 많은 참여를 위한 충분한 설명과 함께 시와 시의회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범시민적 투쟁의 강도를 높여 나가기로 했다.
또 국방부와 환경부 간 환경치유 문제에 따른 이견으로 2016년 개교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는 캠프캐슬(동양대학교 부지)의 조기 반환을 촉구하는 대책위 명의에 건의문을 환경부에 우선 전달키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대책위는 한·미 연합사령관의 기지잔류 검토 발언 이후 아직 구체적으로 확인된 사항이 없는 만큼 국방부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당분간 기지잔류와 관계없이 중앙정부에 동두천지원을 촉구키로 해 우려됐던 6·4지방선거 관련, 극단적 대정부 투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종갑 위원장은 “국가 안보로 희생된 동두천시가 자력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이제 대책위의 활동에 달려있다”며 “하나된 시민의 힘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군 재배치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해 커티스 스카파로티 한·미 연합사령관의 한강이북 미군잔류 필요성 언급에 반발, 지난 2월27일 동두천시민과 42개 사회단체가 총 참여하는 창립총회를 통해 구성됐다.
동두천=송진의기자 sju0418@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