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자니 시민 반발 우려 놔두자니 해마다 적자행진 자연휴양림ㆍ체육센터 등 요금인상 놓고 깊은 고민
용인시가 용인자연휴양림과 시민체육센터, 청소년수련관 등 각종 공공시설물의 사용요금 현실화를 놓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매년 적자를 보고 있어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요금을 인상할 경우 시민들의 반발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14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시민들의 복지 증진을 위해 용인자연휴양림(모현면)과 시민체육센터(포곡읍), 청소년수련관(행정타운 내), 용인 아르피아(수지구) 등의 체육 및 청소년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시설의 사용료가 낮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용요금 감면 등으로 매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용인자연휴양림의 경우, 전국 주요 공립 자연휴양림 시설 사용요금보다 20~28%가량 저렴하다. 특히, 입장객의 40%가 용인시민이지만, 정작 용인시민에게는 입장료를 면제해 입장 수익금이 저조한 데 한 몫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용인자연휴양림은 지난 2011년 3억원, 2012년 3억6천400만원, 2013년 2억3천100만원 등 매년 2억~3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수영과 헬스, 요가, 골프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용인시민체육센터 역시 다른 지자체에 비해 사용료가 다소 낮고 이곳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회원이 사용요금을 감면받는 인근 지역주민들로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곳도 지난해 수강료와 임대수입을 통해 12억8천여만원을 벌어들였지만, 인건비와 시설운영비로 20억원을 사용해 결국 7억2천200여만원의 적자를 냈다.
이밖에 실내체육관과 아르피아, 청소년수련관, 배드민턴·테니스장의 사용료도 다른 시·군에 비해 낮거나 무료로 개방하고 있어 시의 재정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인근 시·군의 유사한 주민편익시설 사용료와 비교·검토하는 한편 용역 또는 자체 진단을 통해 사용료 현실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몇 년 전부터 이들 시설의 사용료를 올려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지만, 시민 편의와 물가안정 차원에서 요금 인상을 자제해왔다”며 “하지만, 시설마다 매년 수억원의 적자를 기록, 다른 시설의 사용요금 인상 기준에 맞춰 사용료를 소폭 인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용인=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