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이전과 성격 달라” 취임과 동시에 청원서 제출 서해 생태계 감시 구멍 우려
제종길 안산시장 당선자가 지역균형 발전을 이유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안산 해양연구원’의 지방 이전에 대해 “해양연구원의 지방 이전 문제는 타 공공기관의 이전과 성격이 다르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특히, 제 당선자는 시장 취임과 동시에 해양연구원 지방 이전을 반대하는 청원서를 정부 측에 제출하겠다는 입장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17일 제 당선자와 해양연구원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05년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을 수립해 수도권에 소재한 정부투자 및 출연 연구기관인 안산 해양연구원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을 확정했다.
그러나 지방으로 이전이 확정된 해양연구원의 경우 지난 1986년 설립된 뒤 국내 해양연구 발전을 위해 서해 안산과 동해 울진, 내륙 대전 등 4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해양과학 연구 및 성과보급 등에 주력해 왔다.
이같은 설립 배경 때문에 해양연구원이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서해 조력발전 등 해양에너지 사업에 차질이 불가피 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시화호와 화옹호, 새만금사업, 황해 해양조사 및 해저자원 개발 등 서해안 권역의 해양환경 연구에도 차질이 불가피 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서해를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중국에는 20여개에 육박하는 원자력발전소가 가동 중에 있고 추가 건설도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를 감시할 연구 기관이 절실한 형편에 해양연구소가 이전될 경우 서해 해양생태 감시망에 허점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제 당선자는 “해양연구원 이전은 원칙적으로 반대의 입장임을 분명히 밝히며 취임 이후 정부에 연구원 이전 반대에 대한 청원을 할 생각”이라며 “서해는 많은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같은 배경 등에 따라 연구원은 안산에 존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안산사이언스밸리에서 해양연구원은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밸리의 기능을 확대 발전시키기 위해 안산에 존치해야 하며 이동이 불가능한 실험기자재들도 있다”면서 “현재 부산에는 많은 해양연구 및 교육기관이 집중돼 있어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며 앞으로 연구원이 안산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