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지역 발달장애자(자폐)들이 제때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치 못하는 등 열악한 환경 때문에 ‘탈이천’까지 고민해야 하는 형편에 처해 있다.
현실과 맞지 않은 정부의 현행 급여체계가 직원(강사) 확보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이천시와 시 복지관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2년 6월 사회복지법인 승가원에 이천시 장애인복지관을 위탁하고 연간 10억5천만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복지관은 이에 따라 이천지역 재가 장애자들을 상대로 15개 분야 장애 유형별에 맞는 60여가지의 치유ㆍ치료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중증 장애자 대상 프로그램이 수요를 제때 충족하지 못해 장애자는 물론 가족들에게 큰 근심이 되고 있다.
발달장애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중ㆍ물리치료 프로그램(반별 20여명 참여)이 2개 반에 그쳐 40여명에 이른 상당수 장애자들이 치료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 이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심지어 1년 가깝게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데는 현행 임금 체계가 1호봉 기준, 160여만원에 그쳐 직원(강사) 확보가 어려운데다 그나마 채용된 자마저 생활이 어려워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프로그램 운영이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기자 A군(10)는 1년에 가까운 상당기간을 기달려야 할 형편인데다 유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역내 사설 기관이나 단체도 없어 가족들이 애만 태우고 있다.
A군 부모는 “아주 중요한 때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치 못해 가족 모두가 큰 근심”이라며 “아이가 꼭 치료를 받도록 시와 복지관이 개선책을 제시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현행 인건비 체계로는 직원(강사) 구하기가 어려워 2개 반만 운영되고 있다”면서 “복지관측과 협의, 강사를 확보하는 방안을 찾아 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말 현재, 이천지역 장애자들은 전체 1만164명으로 시 전체 인구중 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발달장애자들은 모두 78명으로 이 중 18세 미만(고등학생까지) 장애자가 54명으로 집계됐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