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과기원 강성균·임재규 박사 세계 최초 규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심해미생물의 생체 에너지 생성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해양과기원 소속 강성균·임재규 박사와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 뮐러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심해 63~90℃의 고온에서 서식하는 고세균의 일종인 ‘Thermococcus onnurineus NA1’이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이한 반응을 규명했다.
해양과기원이 지난 2002년 남태평양 심해열수구에서 채취한 ‘NA1’은 차세대 청정에너지로 부각돼 바이오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원천생물자원로 해양과기원은 ‘NA1’이 개미산을 이용, 바이오수소를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2010년 세계 최초로 밝혀내 ‘개미산 이용 미생물 성장과 수소생산의 커플링’이라는 제목으로 네이처지에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2010년 발표된 논문의 후속 연구로 연구팀은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적 실험 기법을 활용해 개미산을 이용한 고세균 NA1의 수소생산 과정에서 생성된 나트륨이온 농도차이가 생체에너지(ATP)로 전환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심해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수소 생산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수소의 생산성 향상과 우수균주 개발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