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28일 6ㆍ4 지방 선거에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뜨거운 감자였던 SK인천석유화학(주) 증설 관련 준공이 처리됐다.
공천에 대한 불만의 오기이든, 후임 서구청장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소신이든, 준공 전 상생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시작되기를 바라는 지역 주민의 바램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임 청장이나 신임 서구청장은 어떠한 입장도 공식화 되지 않고 있다. 후임자는 두 번의 출마 끝에 구청장에 당선 되었다. 현안 파악이 안되었다는 말로도 변명하기 어려울 터인데 그 어떤 방향 제시와 준공에 따른 입장이 없는 것은 실망스러울 뿐이다.
지금도 SK인천석유화학 주관으로 주민들과 상생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무려 20여 차례의 소득 없는 회의만 반복 되고 있는 한심한 상황이다.
겉으로는 상생협의를 위해 노력 하는 척 하면서 뒤로는 준공 절차를 진행해 온 것이다. 법치를 앞세운 대기업의 주민 기망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무에서 유를 협의해야 하는 상생협의체의 운영은 지역별 계층별 기득권과 이해관계의 복잡함, 법적 근거가 없는 협의체로써 가시적 성과를 내기가 어렵다는 것을 우리 모두는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이것은 상생안에 대한 책임을 협의체와 주민들에게 떠 넘기려는 의도다.
이에 SK인천 석유화학은 기망 행위가 아니었다면 기업 차원의 상생안을 전체 주민들에게 즉시 공개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지역발전과 주민들을 위해 상생을 천명한 SK인천석유화학 측은 책임을 회피 하려 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협의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시운전으로 인한 소음과 나프탈렌 유출 사고로 인한 주민들의 고통과 불안함을 어떻게 설명 할 것인가?
우리들에게 약속한 장외 영향 평가, 건강 영향 평가 등 전문기관의 재검증 요구도 기업 활동 노력에 버금가게 진행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고 있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는 처사다.
서술한 내용들을 되집어 보고 적극적 협의와 협약에 의한 조속한 조례제정 등으로 더 이상 주민의 불안과 분열을 막아 달라는 것이다.
김병철 前인천시의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