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일방적 결정… 물리적 충돌도 불사” 범시민투쟁 확산
동두천 캠프 케이시 미군 기지의 잔류결정에 동두천시와 시의회를 비롯한 시민ㆍ사회단체가 미2사단 정문봉쇄 등 정부와의 전면전을 선언하고 나섰다.
기존 지역사회단체로 구성된 주민대책위원회의 경고성 미군 주둔 반대투쟁이 시와 시의회까지 적극 참여하는 극단적인 범시민투쟁으로 확산되고 있다.
동두천시와 시의회를 비롯한 미군재배치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 24일 한미간 미 보병 제2사단(210화력여단) 동두천 잔류가 최종 결정되자 곧바로 긴급대책회의에 이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 잔류저지 규탄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일방적인 미2사단 210화력여단 동두천 잔류에 시민은 분노한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미2사단을 전부 예정대로 평택으로 이전할 것 △정부가 미2사단 반환기지에 대한 개발계획을 수립해 파탄에 빠진 지역경제를 회생시킬 것 △용산·평택에 준하는 형평성 있는 지원대책을 마련해 줄 것 등을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미군부대 정문 봉쇄와 국도3호선 및 경원선 차단을 비롯한 상경투쟁 등 극단적인 방법을 총동원해 210화력여단의 잔류를 반드시 저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세창 동두천시장은 “국방부의 일방적인 결정은 동두천 시민을 철저히 무시하는 처사로 더이상 참을 수 없는 극심한 좌절과 분노를 느낀다”며 “이달 말 까지 정부의 납득할 만한 조치가 없을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시민폭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영미 시의회의장, 한종갑 주민대책위원장도 “10만 동두천 시민과 함께 미군 잔류를 강력히 저지하겠다”는 뜻을 같이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지난 24일 ‘미2사단 포병여단의 동두천 잔류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며 정부에 대해 동두천 지원 특별법 제정과 재정지원 등을 촉구했다.
한편 지난 23일(미국 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열린 제46차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양국은 한국군이 자체 대(對)화력전 수행능력을 증강하는 2020년까지 210화력여단을 남겨두기로 합의했다.
병력 2천300여명의 210화력여단이 잔류할 캠프 케이시는 동두천지역 6곳의 미군기지 가운데 14.15㎢로 가장 넓은 곳으로 연합토지관리계획(LPP계획)에 의해 2016년까지 평택으로 완전 이전하기로 했었다. 210 화력여단은 전술지대지 미사일과 신형 에이브럼스 전차 등을 보유한 주한미군의 핵심 부대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