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경제] 핀테크 단상

핀테크(fintech)가 화두다. 시장의 관심은 연일 언론 지면을 채울 만큼 뜨겁고, 정부도 2015년 금융정책의 중점 과제로 삼을 모양이다. 금융과 기술을 합성한 용어가 주는 의미처럼 핀테크는 대단히 혁신적이고 지금까지 없던 금융서비스를 창출하는 블루오션으로 인식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만나 창조되는 모든 금융서비스가 핀테크겠지만, 굳이 핀테크를 정의한다면 모바일금융이 가장 가까운 개념이다. 기술이 오프라인에서 인터넷, 다시 모바일로 진화하면서 금융서비스를 소비하는 방식과 플랫폼이 바뀌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핀테크라는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핀테크 열풍은 나라마다 기반은 조금씩 다른데 한국처럼 인터넷금융이 진작 발전한 나라지만 새로운 모바일금융에 직면한 경우, 중국이나 심지어 미국과 같이 상대적으로 인터넷금융이 덜 발달한 나라지만 모바일금융으로 훌쩍 도약하는 경우 등이다.

핀테크는 금융소비자에게 최선이다. 오프라인금융이 공급자중심 서비스라면, 인터넷금융을 넘어 모바일금융은 수요자중심 금융의 완전한 구현이다.

금융소비자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선택권이 확대되었다. 어디서 무엇을 하든 모바일 터치 한 번으로 원하는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시공간 제약이 없다. 이런 점에서 핀테크는 서비스대상이 지급결제이든, 자금조달이든, 자산관리이든 간에 반드시 가야 할 금융서비스의 최고단계로 보인다.

그런데 공급자 입장에서는 조금 다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한 경쟁의 격화일 수도 있고, 또 상당한 시장 외연의 확대일 수 있다. 핀테크로 가는 속도와 방식, 전략이 필요한 이유이고, 그래서 정책당국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다. 핀테크로 거론되는 지급결제, 소액금융중개, 자산관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지금까지 핀테크의 가장 일반적인 영역이 지급결제다. 익히 알려진 아리페이, 구글월넷, 애플페이, 뱅크카카오월넷 등이 대표 주자들이다. 서비스의 핵심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결제를 모바일 폰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플라스틱 신용카드 따로, 인터넷뱅킹 따로이던 지금의 결제시장과 달리 둘을 하나로 통합 서비스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문제는 우리는 이미 인터넷뱅킹이나 신용카드서비스가 거의 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핀테크가 결제시장 외연을 확대하고 그 과정에서 경제전체의 부가가치 총량이 획기적으로 늘까 하는 의문이다. 증권업에 브로커리지 3.0 이란 게 있다.

모바일 주식투자가 가능해져 투자자들은 정말 편해졌지만, 주식투자 인구를 늘리지는 못했다. 결과는 경쟁구도 변화와 수익성 하락 따른 증권업의 축소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소액금융중개. 모바일에서 소액자금을 개인 간 거래(P2P)하거나 기업과 거래(P2B)하는 서비스가 우리나라에는 없다는 점에서 핀테크는 조달시장 발전에 매우 중요해 보인다.

다행히 진작부터 있었던 혁신생태계 관련하여 소액모험자본을 중개하는 크라우드펀딩이나, 사회적 금융과 관련한 사회적 거래소 논의가 제도화되면 핀테크 발전에 획기적일 것이다. 더구나 핀테크 소액금융중개는 빅데이터를 이용해 금융중개에 따른 리스크관리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정보 비대칭에 따른 금융소외 문제를 줄여주는 새로운 가능성까지 열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산관리서비스다. 자산관리는 속성상 맞춤형이라 고비용 금융서비스인데, 핀테크 자산관리는 그 혜택을 일반 금융소비자로 확장시켜줄 수 있는 금융기술혁명이다. 세계 최고속의 고령화와 초저금리 경제로 진입하는 우리 경제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핀테크 신금융서비스로 판단된다. 경제 전체의 부가가치 제고 면에서도 가장 주목할 분야이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금융산업 비전 10-10을 발표했다. 금융산업의 부가가치를 10%로 높이겠다는 것인데, 핀테크의 속도와 방향에 있어서도 이런 관점이 반영될 필요가 있겠다.

송홍선 자본시장연구원 펀드연금실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