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하 감독 ‘거리 3부작’ 완결판 김래원·이민호 거친 액션 관람객들에 보는 재미 선사
한국사회에서 ‘땅’은 만만치 않은 의미를 지닌다.
‘부동산 공화국’이라는 말이 통용될 정도로 단순 거주공간 이상의 가치와 욕망이 ‘땅’에 투영돼 있다. 영화 <강남 1970> 은 우리나라 부동산 개발의 상징이 된 ‘강남’의 불패신화를 유하 감독 특유의 스타일과 시선 속에 담아낸 액션느와르다. 강남>
영화 <강남 1970> 은 강남땅의 개발이 막 시작되던 1970년대를 조명한다. 김종대(이민호 分)와 백용기(김래원 分)는 고아원 출신이다. 넝마주이로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처량한 신세다. 그러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그들이 살던 판잣집까지 헐리게 된다. 강남>
억울함에 철거용역 깡패 사무실에 찾아간 그들의 근성과 배포가 중간보스인 강길수(정진영 分)의 눈에 들어온다. 그렇게 조직폭력배 무리에 흡수된 이들은 야당 전당대회장을 습격하는 정치깡패일에 투입된다. 이후 김종대와 백용기는 헤어져 각각의 인생유전(人生流轉)을 겪는다.
강길수는 김종대를 자신의 호적에 입양하여 아들로 삼은 뒤 깡패생활을 접고 세탁소를 한다. 백용기는 명동파 보스 양기택(정호빈 分)의 수하로 들어간다.
<강남1970> 은 유하 감독의 ‘거리 3부작’, 즉 <말죽거리 잔혹사> <비열한 거리> 를 잇는 마지막 작품이다. 그 피날레를 이민호와 김래원이 장식했다. 비열한> 말죽거리> 강남1970>
청춘스타로 주목받다가 최근 들어 드라마 <펀치> , 영화 <마이 리틀 히어로> 로 또 다른 변신을 시도한 김래원은 욕망과 우정 사이에서 갈등하는 청년 백용기 역으로 열연했다. 여기에 이민호가 첫 주연으로 이야기를 이끄는 김종대를 연기했다. 마이> 펀치>
‘땅’을 소재로 하는 만큼, 영화는 온통 ‘갈색 빛’이다. ‘땅’과 ‘돈’, 그리고 ‘폭력’으로 엮인 두 남자의 질척이는 관계는 영화 후반 하이라이트로 등장하는 ‘진흙탕 싸움’ 씬에서 폭발한다. 유하 감독의 전작인 ‘비열한 거리’의 초반 진흙탕 씬을 연상하는 이 장면은 인생 막장에서 만난 두 남자의 갈등과 대립을 현실적으로 표현한다.
영화 <강남 1970> 은 액션만큼은 여느 영화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진흙탕 액션에서 목욕탕, 전당대회, 창고 등 장소를 불문하고 완성도 높은 액션을 보여준다. 특히, 큰 기럭지로 시원하게 팔과 다리를 뻗는 김래원과 이민호의 액션은 보는 것만으로도 관객에게 통쾌함을 안겨 주기에 충분하다. 강남>
‘강남’을 배경으로, 개발주의 시대의 비열함을 전면에 드러내기는 하지만 곱씹고, 생각하며 보는 영화는 아니다. 유하 감독 전작이 그랬던 것처럼 스토리보다는 캐릭터에 치중한 영화다. 다만 폭력의 수위가 높아 취향에 따라 영화에 대한 호불호가 달라질 수 있다. 청소년 관람불가.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