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스마트허브 어린이집’ 인건비 덤터기

국가산단내 시설 불구 국고지원 외면 市 80·道 20% 분담… 예산부담 가중

경기도가 스마트허브(구 반월ㆍ시화공단) 내 ‘안산스마트허브 어린이집’을 설립, 운영하고 있으나 예산 지원이 되지 않으면서 해당 지자체의 예산 부담만 가중, 논란이 일고 있다.

2일 경기도와 안산시 등에 따르면 도는 스마트허브 내 직장에서 교대근무하는 맞벌이 부부의 보육 부담을 해소해 주기 위해 지난해 3월 24시간 운영되는 어린이집을 개원, 운영하고 있다.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37(원시동 773-18) 일대 700㎡ 규모(지상 2층)의 시설면적으로 문을 연 어린이집은 보육시설(유희실 포함)과 실내놀이터, 각종 부대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개원 1주년을 앞두고 있는 스마트허브 어린이집은 경기도지사의 공약으로 출발해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무상으로 부지를 제공했고 건축비 15억원 가운데 경기도가 10억원 나머지 5억원은 안산시가 부담, 신축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어린이집 신축 당시 국비가 지원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인건비 지원은 하지 않고 있어 현재 경기도와 안산시가 인건비 1억6천만원을 공동(2대8)으로 분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안산시는 국고 지원을 받고 있는 정부지원시설을 제외한 민간 및 가정, 부모협동 어린이집 가운데 0~2세 또는 장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에는 시가 기본보육료를 지원하는 규정을 스마트허브 어린이집에도 적용, 예산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국가 공단 내에 신설된 어린이집의 경우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시설로 판단하고 있다”며 “안산스마트허브 어린이집은 국고 지원이 불가하다고 하지만 제도를 개정해서라도 기본보육료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해 지자체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