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개 시민단체 앞다퉈 동참 지하차도 건설 운동 본격화 “당초 약속 지켜라” 국토부 압박… 시의회 ‘지하화 촉구 결의안’
광명지역 46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건설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상임대표 김광기, 원광명 대책위원장)가 19일 오후 시청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돌입했다.
대책위는 이날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건설 사업과 관련, 광명시 구간(원광명마을~두길마을)을 당초 주민설명회때 약속했던 지하차도로 건설하지 않고 지상으로 건설하려는 계획에 대해 강한 분노와 배신감을 느낀다”면서 “국토교통부와 LH, 사업시행자인 서서울고속도로(주)는 2010년 보금자리주택지구가 발표되면서 보금자리주택 건설에 장해가 되는 고속도로를 지하화해 건설하기로 합의하고 광명7동 원광명마을부터 광명6동 옥길동에 인접한 부천시 경계까지 지하차도로 건설하기로 약속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부의 잘못된 주택공급 정책으로 공공주택지구(구 보금자리지구)가 해제(2015년 4월21일 예정)됨에 따라 LH에서 지하차도 건설비용에 대한 분담을 거부하면서 사업시행자와 국토부는 책임을 회피하다가 고속도로 노선 건설계획을 갑자기 지상으로 변경했다고 주장했다.
이같이 대책위가 고속도로 지하화를 요구하고 나선 것은 원광명마을부터 옥길동 두길마을과 식곡마을까지 고속도로가 지상(토공)으로 건설되면 제2경인고속도로와 같이 광명은 남북으로 생활권이 단절되고 도시개발이 제한돼 2.5배 추가확장하는 도시개발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 원광명마을은 뒤로는 도덕산, 앞으로는 고속도로에 가로막혀 기습 폭우에는 침수피해가 우려되고 한여름에는 바람이 차단돼 열대야에 시달리는 등 극심한 환경피해가 예측된다고 대책위는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광명시의회는 이날 제203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지하차도 건설 촉구를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은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지상 건설과 관련 국토부, LH, 서서울 고속도로(주)가 2013년 4월 주민공청회 때 약속한대로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국회, 행정자치부, 국토교통부 등에 제출할 계획이다.
광명=김병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