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실 꽃이 만개하면서 매실수확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복숭아씨살이좀벌(이하 좀벌)의 방제에 비상이 걸렸다.
6일 김포시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좀벌은 1년에 한번 발생하는 해충으로 매실 꽃이 만개한 후 애벌레가 씨방 속에 들어가 종자를 갉아먹으면서 성장, 수확 직전에 과실 표면의 일부가 갈색으로 함몰되면서 떨어져 수확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난 2013년 이 좀벌의 피해를 입은 매실 주산지인 전남 광양, 순천지역은 2013년과 지난해 40~65ha의 매실수확을 포기하는 등 매실 수확량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100여농가에 이르는 김포지역 매실농가에서도 지난해 일부 농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좀벌 발생이 우려되는 농가는 꽃이 만개한 후 10일 이후(매실이 콩알만한 시기)에 10일 간격으로 2~3회 사전 약제방제를 해야 한다.
센터는 올해 김포지역 매실 꽃의 만개시기가 지난 5일로 조사됨에 따라 좀벌 집중 방제 기간은 오는 13일~17일로 예상하고 철저한 방제를 위해 매실농가 대상으로 현지 순회지도와 홍보, 문자서비스 등 좀벌피해예방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이 좀벌에 등록된 약제가 없어 매실해충 방제약제를 대신 사용해 좀벌을 방제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 매년 매실농가에서는 수확전 낙과된 과실을 씨까지 잘라 씨 안에 애벌레가 있을 경우 수확기 이후에는 약제 방제효과가 없어 낙과 과실 등 좀벌 피해과실의 완전제거 등 피해예방 조치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센터 관계자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해과실을 조기 제거하고 껍질이 썩었거나 땅에 떨어진 과실을 모두 수거해 불에 태우거나 땅속 깊게 묻는 등 적극적으로 과실 속의 유충을 제거해 피해입은 매실의 잔재물이 과원에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