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운 소식이 들렸습니다. 국방부가 수원시의 군공항 이전건의서에 대해 ‘적정’ 판정을 내렸습니다. 수원화성 축성 이래 최대의 경사라고 합니다. ‘수원비행장 이전법’을 대표발의하여 군공항 이전의 법적토대를 마련했던 사람으로서 가슴이 뭉클해지는 감회를 느꼈습니다.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 서둔동 벌판을 천둥벌거숭이처럼 뛰어놀던 ‘수원 촌놈’에겐 대한민국의 경제수장이 되고 나서도 채울 수 없는 목마름이 있었습니다. 수원이 중심이 되어 경기도를 G7으로 가는 관문으로 만들고 싶은, 바로 그 꿈 말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수행비행장 이전부지를 활용하여 경기남부를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만들어야 합니다. 광교테크노밸리~삼성전자~수원비행장 부지는 최첨단 IT NT 반도체 첨단 클러스터, 광교~경기대아주대성균관대~서울농대농촌진흥청 부지~수원비행장 부지~화성 향남 제약단지를 연계하여 BT 제약산업 클러스터로 만들어야 합니다.
아직도 가야할 길이 많이 남아 있지만, 돌이켜보면 난관의 연속이었습니다. 2007년 여당의 정책위의장으로서 당시 이용섭 건교부 장관, 김장수 국방부 장관을 설득해서 비상활주로 해제 등을 포함한 수원비행장 이전에 대해 긍정적 답변을 얻어냈으나 정권이 바뀌면서 추진력을 잃어버렸을 때 참으로 가슴 아팠습니다. 그때, 결심했습니다. 아예 법으로 확실히 못박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18대 국회에서 ‘수원비행장 이전법’을 대표발의했으나, 국방위 소위까지는 통과했지만 국방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좌절을 맛보아야만 했습니다. 19대 국회에서는 직접 국방위에 들어가서 법안을 다시 대표발의하고 대구 유승민, 광주 김동철 의원과 함께 여야 의원들을 설득하여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수원비행장 이전은 대표적인 민생 살리기입니다. 비행기 소음과 고도제한으로 인하여 재산권 행사에 불이익을 받는 주민들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습니다. 국민안전대책이기도 합니다. 폭발물을 탑재한 전투기가 도심 한복판 상공에서 이착륙을 반복하는 상황이 계속되면 자칫 대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수원비행장 이전은 국방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선진국들은 20여 년 전부터 도심 군공항을 도서, 해안, 고원, 사막 등으로 이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서해안에 인공섬을 만드는 방안 등 다양한 이전 대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용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012년 기준으로 수원비행장 매각대금이 12조원(김진표 법안 비용추계서)이 훨씬 넘습니다. 최첨단 공군기지를 새로 짓고, 이전부지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할 수 있는 재원 확보가 가능합니다.
수원비행장 이전은 민-군 상생의 길입니다. 이번 군공항 이전건의서 ‘적정’ 판정은 또다른 시작입니다.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한 화룡점정. 나에겐 아직 꿈이 있습니다.
김진표 前 민주당 원내대표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