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제공자에 면죄부… 몸담을 이유없다”

‘무더기 징계처분’ 새정치 광명시의원들 탈당 선언

“원인제공자에게 면죄부를 주는 이러한 행태가 공당으로 있을 수 있는 일입니까”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광명시의원들이 같은 당 동료의원의 제명과 관련, 사상초유로 중앙당으로부터 출당조치 등 무더기 징계처분 결정을 받자(본보 5월28일자 5면) 해당 의원들이 1일 새정치민주연합 전격 탈당을 선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윤리심판원(위원장 강창일)으로부터 제명(출당)을 당한 나상성 시의장과 중징계를 받은 고순희, 이영호, 김기춘 의원 등은 이날 광명시의회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갖고 새정치민주연합의 최근 징계 결과에 강한 불만을 제기하며 탈당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탈당 기자회견을 통해 “원인제공자(김익찬 의원)에 대해서는 특별한 징계를 하지도 않은 채 제명안에 동참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하는 것은 반의회주의와 지방의회를 무시한 것”이라며 “광명시의회가 바로서야 한다는 대승적 차원에서 제명안에 동조를 했고 이에 대해 많은 시민들이 박수를 보내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이번 징계 결정은 최근 각종 추문과 반의회적인 행동으로 전체 의원들의 품위를 저해하고 지역이미지를 훼손한 해당 의원에 대한 면죄부를 주는 것”이라며 “지역여론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중징계처분을 내린 정당에 더 이상 몸담을 이유가 없다”고 탈당 이유를 밝혔다.

앞서 백재현 국회의원(광명갑)은 이들 의원들의 탈당을 만류했지만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들의 탈당으로 지역정가는 때이른 정계개편과 함께 상당한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지난해 7월 취임당시 13명의 전체 의원 중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이 8명이었으나 새누리 5명, 새정치민주연합 4명, 무소속 4명으로 재편됐기 때문이다.

탈당한 이영호 의원은 “이번 중징계는 정치생명에 사망 선고를 한 것과 다름없다”며 “향후 김익찬 의원 건을 처리하려 할 때는 중징계가 아닌 제명이 될 것이 뻔한 상황에서 탈당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의원들의 탈당으로 지역정가 일각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윤리심판원의 결정이 제식구 감싸기에 급급한 나머지 대의와 명분을 잃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 향후 파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광명=김병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