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론] 여름철 자동차 관리 요령

이번 주에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장마철이 끝나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물론 지금도 매우 무덥지만)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고온 다습한 날씨로 인해 자동차 내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가스 제품 등의 폭발 위험, 엔진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 그리고 습도 상승으로 인한 세균 번식의 위험 등 여러 가지 위험 요소가 있으므로 자동차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우선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 폭발성 물질이 터질 수 있다. 차량의 대시보드가 고온의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 표면 온도가 높게는 90℃ 이상까지 상승하며, 일회용 가스라이터, 자동차 실내 탈취제 등 가스 제품은 폭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실내 주차장을 이용하고, 부득이하게 실외에 주차해야 할 경우 자동차 창유리를 살짝 열어두거나 햇빛 차단막 등을 활용하여 자동차 실내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차내 가스 제품 등은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로 엔진이 과열되면 차량의 화재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 여름철 밀폐된 차량 내에서 에어컨을 가동한 상태로 잠이 들거나 폭염 속에서 장시간 고속 주행을 할 경우 엔진 과열로 인해 자동차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운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차량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엔진 냉각 계통을 사전에 점검하고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초기에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자동차용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세 번째로 각종 세균 번식의 위험성도 높다. 소나기 또는 게릴라성 폭우로 습도가 상승하면 겨울철 사용을 하지 않던 에어컨 내부에 있는 곰팡이 균의 번식이 쉬워져 에어컨 통풍구를 통해 많은 세균이 품어져 나옴으로써 실내 공기가 오염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졸음운전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세균 번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던 에어컨을 사용하기 전 통풍구를 청소한다든지 또는 에어컨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하고 실내 세차와 함께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세균이 번식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한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에어컨은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더구나 무리하게 작동을 하면 과열현상이 나타나며, 긴 오르막길을 오를 때나 장시간 정차 시, 복잡한 시내 주행 시에 에어컨을 켠 상태로 운행하면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더 커져 연료소모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엔진출력과 냉방효과가 떨어지므로 에어컨의 작동을 잠시 멈추는 요령이 필요하다.

효율적으로 냉방하기 위해서는 직사광선을 피해 주차하는 지혜가 필요한데 뙤약볕 아래서 장시간 주차시킨 뒤 자동차를 운행할 때는 창문을 열어서 어느 정도 열을 식힌 후 에어컨을 작동시켜야 에어컨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여름철은 고온의 외부 공기에 의하여 자동차가 쉽게 과열되므로 출발 전에는 반드시 냉각수량이 충분한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뜨거워진 아스팔트 노면과 접촉하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높으면 핸들이 가벼워져 고속 주행 시 조향 안전성이 떨어져 급차로 변경사고가 발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창문을 닫고 차량 에어컨을 켜서 운행하는 경우 차량내부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두통을 유발하거나 자칫 졸음운전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최소한 한 시간에 한 번씩 차내 환기를 위해서 창문을 열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여름철에는 외부의 기온이 높아 불쾌지수가 높은데 더구나 자동차마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운전이 어려워지고 교통사고의 위험마저 초래하게 될 수 있으므로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안전을 위해서도 철저한 자동차 점검과 관리가 이뤄져야겠다.

홍성령 교통안전공단 경인지역본부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