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방춘하 부천시의회 의원
부천시가 추진중인 시청사 옆 부지(중동특별계획1구역 시유지) 매각(안)을 둘러싸고 부천시의회 의원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22일 긴급 소집된 운영위원회에서 ‘의장 불신임’까지 거론됐다.
운영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방춘하 의원을 만나 쟁점 및 향후 운영 방안에 대해 들어봤다.
-운영위원회는 왜 열렸나.
지난 15일 본회의가 자동산회되고, 이튿날 매각을 찬성하는 10명의 의원들이 임시회 집회소집을 의회운영위원회에 요구했다가 20일 돌연 철회했다. 사태의 발단은 의장에게 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본회의에서)발언조차 못했다.
의회회의규칙에는 1인 2회까지 찬반토론을 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의장은 단한번의 발언 기회도 주지 않았다. 또한 임시회 집회요구서와 철회요구서 등 관련서류를 요구했는데 의회사무국 직원이 못준다고 버티다 오늘에서야 제출했는데 이는 의회를 무시하는 처사다.
더구나 20일 집회요구 철회 서명란엔 3명이 직접 서명하지 않고 대리인이 작성했다. 말도 안되는 이러한 회의법 등을 제대로 짚기 위해 회의를 연 것이다.
-여ㆍ야간의 갈등인가.
절대 아니다. 시유지(3만4만286㎡)를 공청회 한번없이 수의계약방식으로 매각, 복합시설로 개발하는 계획안은 시민들의 의견을 철저히 무시하는 행태다. 이같은 의견은 우지영(새정치민주), 윤병국(무소속) 의원도 당파를 떠나 소신을 보였다. 새누리 의원들도 두 의원과 입장이 같을 뿐이다. 오히려 매각을 찬성하는 10명이 모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다.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마지막 3차 본회의(지난 15일)때 공유지 매각(안)건을 분리 상정하지 않고 다른 조례안건에 포함시켜 얼렁뚱땅 뭉쳐 표결하려고 했던 점, 부의장이 정회를 요청했는데도 받아들이지 않았던 점, 의장단상을 점령하면서 회의가 중단됐는데도 불구, 의회 협력팀 여직원이 방청석 2층에 남아 의원들을 감시한 것, 의장의 편파적인 회의진행을 보좌못한 의사팀장의 방관과 집회요구서 제출을 거부하며 버틴 석연찮은 행동 등은 분명 직무유기다.
-향후 계획은.
의장과 의회사무국의 공식적인 사과가 없으면, 의장 불신임안건까지 생각해야 하고, 의회특별윤리위원회를 구성해 의회 파행을 제대로 진단, 시민들의 알권리를 충족시킬 것이다.
부천=최대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