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유지 팔아도 4천억… 쓰겠다는 돈은 1조”

인터뷰   부천시의회 윤병국 의원

부천시 시청사 옆 중동 특별계획1구역(시유지) 복합개발을 두고 정당의원간 의견을 달리하며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이와 관련, 의장이 직권으로 오는 13일 임시회를 소집했다.

임시회 소집요구 이후 법적으로 15일 이내 임시회를 소집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무소속 윤병국 의원은 10일 “계획대로 매각해도 4천억원이 안되는데 쓰겠다는 돈은 1조가 넘는다”며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중동 특별계획1구역은 땅을 팔아 구도심을 지원한다는데.

정말 이 땅 매각으로 구도심을 구원할 수 있을까 의문이다. 우선, 전액 국비로 한다고 국회의원이 공약한 사항이었다가 10%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전환된 ‘부천(소사)~고양(대곡) 지하철 사업(185억·소사, 오정)’이 2015년 중기재정계획에 빠져있다.

이뿐인가. 땅 팔아서 하겠다는 14개 사업(1조 1천65억원)중에 작년 선거시 예산부담없이 가능하다고 공약한 ‘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 증편(220억)’과 2020년 이후로 계획, 2014년 계획에는 15년부터 10억씩 투자계획을 세운 오정대공원 조성(590억), 소사역 남측 출입구 조성(41억), 콘텐츠기업 집적화 시설(송내동 한전부지·65억),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부담금·251억), 오정동·작동 군부대 이전 부지(매입비·3천178억),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후(지상 조성비·900억), 종합운동장 일원 역세권 융복합 개발(4천470억원), 한국마사회 부천 화상경마장(신규·건물취득·73억원) 등 10개 사업이 중기재정계획에 미반영돼 있다. 계획대로 매각해도 4천억 원이 안되는데 쓰겠다는 돈은 1조가 넘는다.

영상단지 매각까지 상정했기 때문인데, 영상단지의 절반도 안되는 이 땅이 전부인 듯 목숨 걸 일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여·야간의 갈등으로 치부될 사안이 아니라 지역발전 방향을 두고 시민들에게 설득력을 얻어야 한다.

-이번 중동택지개발사업이 현 시장의 무능함을 입증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2010년 김만수 시장이 취임한 이후 고정비용(경상적 지출)을 무척 늘렸다. 수입이 줄고 고정지출이 늘었으면 다른 데서 지출을 줄여야 균형이 맞다.

그런데도 김 시장 재임 후 새로 시작한 대형투자사업들이 즐비하다. 구도심에 지원하겠다는 사업 목록을 보면 이 땅 매각계획을 세우기 전부터 있던 일들이 많다. 중기재정계획을 보면 2014년에 이 부지를 통합 매각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김만수 시장 측이 주장하는)땅 못 팔아서 일 못한다는 것은 자신의 무능을 고백하는 것이다.

-중동특별계획구역에 대한 대안과 원도심 균형발전 재원 마련은.

신도시 도면을 보면서 이 일대는 시청 바로 옆, 부천의 심장과도 같은 부지이므로 아파트를 지어서는 안된다고 결정했을 것이다. 불과 20년 전이다. 그런데 이제 와서 돈이 된다고 기존 아파트보다 더 무시무시한 초고층 아파트를 짓게 하자는 발상이다. 앞으로 100년 동안 보고 살아야 하는 건물이다.

부천=최대억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