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국민의 독립 투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광복 70년 학술대회 '경기도의 미래 독립운동에서 찾다'] 完. 경기도 독립운동가, 오늘의 길을 열다

한 나라가 독립을 되찾게 되면 먼저 해야 할 두 가지 과제가 있다.

하나는 독립운동가에 대한 포상과 친일파에 대한 청산이고 다른 하나는 정부수립의 기초가 됐던 독립운동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작업들이다. 그래야만 독립된 한 나라의 위상을 굳건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해방 후 변칙적인 정치적 행보에 의해 이러한 것들이 모두 무시됐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가담한 독립운동가는 무려 20여만명으로 추정되지만 국가로부터 포상된 인물은 1만4천여명에 불과하다. 독립운동사는 왜곡된 역사관에 의해 뒤틀렸다. 망국민(亡國民)의 독립 투쟁은 광복 70년이 지났지만 아직 끝나지 않은 것이다.

경기일보와 경기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가 후원한 광복 70주년 경기도학술세미나가 지난 11일 경기연 7층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독립운동가, 오늘의 길을 열다’를 주제로 열렸다.

세미나에 참여한 독립유공자 후손과 역사학자들은 미래지향적 통일국가를 대비해 독립운동사를 정립하기 위한 국가 주도의 체계적 사업 추진을 역설했다.

특히 이들은 독립유공자 관련, 보훈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대적인 독립운동가의 현양사업을 요구했다.

참의부 참의장 희산 김승학 선생의 증손 김병기 박사는 “부친(김계업 선생)께서 희산 김승학 선생의 독립운동사를 편찬했는데 그 책에는 2만500명의 독립운동가 활동 약력이 기재돼 있다”면서 “하지만 현재 보훈처는 희산 선생의 공식 기록에도 못 미치는 1만3천900여명의 독립운동가를 서훈했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친일파가 득세한 대한민국의 실정에서 절대다수의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은 나라로부터 버려진 채 가난과 저 학력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항변했다. 독립유공자의 처우에 대한 강한 불만의 표시다.

김병기 박사가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해방 이후 최초 독립훈장 서훈자는 이승만 대통령과 이시영 부통령 등 단 두명이다. 지난 1949년 이들에게 ‘1등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됐다. 이후 1962년 문교부 국사편찬위원회 주관으로 204명의 독립유공자가 서훈되기 전까지 우리나라에는 독립유공자가 없었다. 사실상 1945년 광복 이후 17년여만에 처음으로 독립유공자를 국가가 찾아낸 것이다.

김병기 박사는 “다행히 1963년 증조부인 김승학 선생이 평생 모은 자료를 제시해 대거 포상이 이뤄졌지만 서훈자는 독립운동 가담자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며 “현행 보훈 사업의 문제점은 독립운동 관련 증빙 자료를 후손들이 직접 찾아내 국가보훈처에 제출해야 하는 것인데 이는 관련 전문학자도 하기 힘든 것이기 때문에 정부가 현양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유공자 현양과 독립운동사에 대한 정립은 개인이나 단체가 할 수 없다. 수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오랜시간이 걸리는 국가적 작업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민족의 통일이 진정한 해방 이라는 관점에서 유공자 현양과 함께 독립운동사의 정립은 미래지향적 통일국가를 대비하는 방향으로 시대에 부응하는 거대한 사업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원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