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거는 기대·우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판교테크노밸리에 입주한 기관답게 세련된 분위기를 자아냈다. 그곳에는 10여 개 창업한 기업들이 할당받은 각자 사무실에서 일을 하고 있다. 또 다른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컴퓨터를 마주하고 사업구상에 몰두하고 있다. 이분들은 모두 공개모집에서 오디션을 통과해 창업지원을 받고 있다.

이 경기창조혁신센터는 창업 하거나 막 창업 한 기업을 사업기획에서 기술지원과 자금지원, 판로지원에 이르기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기관이다. 3D프린팅 작업실, 사물인터넷(IoT) 개발 작업실, 게임 소프트웨어 작업실까지 구비하고 있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바로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때문이다. 기존 기업들만으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힘들다.

기업이 성장해도 일자리는 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운 기업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선진국들에 비해 아직 우리나라는 경제규모에 비해 기업체수가 적은 편이다. 아직 기업이 투자하고 생산할 만한 여지가 있다는 이야기다. 첨단산업분야는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가지고 얼마든지 창업을 할 만한 분야다. 80% 이상이 고등교육을 받는 인재대국이 아닌가.

경기도는 반도체 관련한 첨단 전자산업, 의약품과 건강식품과 화장품을 생산하는 바이오산업, 각종 로봇을 만드는 정밀기계산업, 그리고 센서와 빅데이터를 이용하는 사물인터넷 같은 첨단 통신과 소프트웨어 산업이 두루 발달해 있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자통신산업을 테마로 하여 kt가 주도하고 있다. 그렇다고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전자산업에 국한해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첨단 전자산업과 사물인터넷 같은 첨단 통신산업이 융합하고, 로봇산업과 사물인터넷이 융합하고, 바이오와 센서가 융합하여 창조적 산업이 되기 때문이다.

유능한 인재와 좋은 기업이 전국에서 경기도 판교와 광교로 찾아들고 있다. 경기도는 대한민국 산업구조 혁신의 선두주자로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제2판교를 서두르고 그외 광명, 시흥, 포천, 남양주 등 여러 곳에 테크노밸리를 준비하는 경기도와 그 산하 시들의 노력은 고무적이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이 하나 있다. 정부의 의지와 대기업의 투자에 창업지원사업을 의존하는 현재의 사업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경기도는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업종별 협회들이 창업지원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성공적인 창업지원의 모델이 되길 소망한다.

임해규 경기연구원 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