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사거리역명 변경 놓고 民-民 갈등

“광명전통시장역으로 해야” vs “안 어울려” SNS 찬반 팽팽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명 변경을 놓고 지역주민들간에 이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광명시는 지난달 20일 광명전통시장과 구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해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을 ‘광명전통시장역’으로 변경할 것을 중소기업청과 도시철도공사 등 관련기관에 건의했다.

광명사거리역은 광명동 지역의 정체성이 반영되지 못한 것으로, 인근에 밀집되어 있는 상권과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현재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해 광명전통시장역으로 변경이 필요하다는 게 시와 전통시장 상인들의 주장이다.

하지만 이같은 역명 변경을 놓고 주민간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SNS와 시 홈페이지에서는 뜨거운 찬반 논쟁이 펼쳐지고 있다.

역명 변경 찬성측은 현재 광명사거리역은 KTX광명역과 명칭이 유사해 많은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고 인근에는 광명전통시장과 광명새마을시장, 가구문화의거리, 패션문화의거리, 먹자골목 등이 형성돼 지역의 대표적인 이름으로 표기하는 것이 지역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반대측은 다른 곳은 미래지향적으로 OO디지털단지역 등으로 시대 흐름에 맞게 바꾸고 있는데, 오히려 70년대 촌동네 이름으로 역명을 개정하는 것은 맞지도 않을 뿐더러 지역 이미지에도 상당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도 합세, 찬반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새누리당 광명갑지역협의회는 “광명동은 역세권과 대중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엄청난 부가가치를 가진 동네로, 광명사거리역에서 광명전통시장역으로 변경되면 촌동네 이미지와 함께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정의당은 “역명은 그 역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혼동이 없어야 하며, 역사 주변에 대표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해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찬성입장을 나타냈다.

한편 광명전통시장은 1972년 시흥군 서면 광명리(현 광명시 광명동) 지역이 개발되면서 현재 광명사거리에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전통시장으로, 1만9천223㎡의 대지에 410여개 점포가 성업 중인 유서 깊은 시장이다.

광명=김병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