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정부 ‘전기車 보급’ 엇박자

산자부 “공공기관 업무차량 25% 이상 할당”
포천市 “초기비용 비싸고 충전 인프라 부족”

친환경자동차인 전기자동차 보급사업을 놓고 지방자치단체와 정부가 엇박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초기구입비용과 짧은 운행거리,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의 이유로 보급을 외면하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했지만, 정부에서는 전기차 보급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것이다.

 

14일 포천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부터 공공기관들은 새로 구입하거나 임차하는 업무용 승용차의 25% 이상을 전기차로 할당해야 한다는 훈령을 각 공공기관에 시달했다. 다만, 업무용 승용차 보유대수가 10대 이상인 기관은 의무 대상이며, 그 외 기관은 권고 대상이다.

 

산자부는 지난해까지 업무용 승용차를 구입하거나 임차할 경우 50% 이상을 경차와 환경친화적 자동차(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차)로 할당하도록 했었다.

 

이같은 훈령으로 포천시의 경우 전기차 할당 의무 대상이 돼 현재 전기차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11년 12월 구입한 것으로 환경부로부터 대당 5천만원과 충전시설 설치비 대당 2천500만원 등 1억5천만원을 지원받아 전기차 2대와 충전시설 2곳을 설치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3일 현재 이들 전기차 주행거리는 4만3천㎞와 2만㎞로 다른 업무용 승용차에 비해 주행거리가 매우 짧다. 이는 지역 여건상 전기차를 이용하기 적합하지 않아 전기차 이용을 꺼리기 때문이다. 시의 면적이 서울시의 1.4배에 달하지만 전기차 주행거리가 100㎞ 내외로 짧아 장거리 출장에는 무용지물인 것이다.

 

특히, 여름철과 겨울철 에어컨이나 히터를 사용하면 전기소모량이 높아지고 지역 특성상 오르막 차선이 많아 실제 70㎞ 이상 운행하기 어려워 편도 30㎞ 이상 소요되는 산정호수나 관인면 방면 출장시에는 아예 전기차 이용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충전시간도 최소 3시간, 완충하려면 8시간이 소요돼 하루 1회 이상 운행하기도 어렵다.

 

이와 함께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서는 초기구입비용도 부담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공공기관 전기차 조달경쟁입찰을 통해 르노삼성 SM3 RE 모델로 선정했다. 가격은 3천820만원으로 민간보급 가격보다 8.8%(370만원) 저렴하다. 하지만 이는 경차 3대를 구입할 수 있는 가격과 맞먹어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도 업무용 승용차 구입 수요가 5대가량으로 1대는 전기차를 구매해야 하는 상황인데 정해진 예산으로는 구입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재정 여건이나 효율면에서 전기차가 지역 여건에 맞지 않는데, 정부에서는 의무적으로 할당하고 있어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포천=윤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