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입장차만 확인
여야 지도부가 6일 선거구획정 기준 마련을 위한 회동을 가졌지만 소득없이 종료되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혼란이 이어지게 됐다.
올 연말까지 선거구 획정이 마무리되지 않게 되면 모든 국회의원의 선거구가 없어지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예고돼 있음에도 여야가 협상에서 좀처럼 양보하지 않고 있어 국회의원들의 ‘기득권 지키기’에 대한 비판이 거세질 전망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평택갑),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안양 만안)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만나 선거구획정 기준을 위한 ‘2+2 협의’에 들어갔지만 입장차만 확인한 채 20여분만에 종료됐다.
여야가 앞서 농어촌 특성을 감안한 선거구 획정에 공감하면서 비례대표 축소에 무게를 둔 채 시작된 이날 회동은 새정치연합이 제안한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연동제’에 대해 새누리당이 거부 의사를 명확히 하면서 합의가 불발됐다.
새누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 이병석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중재안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지역구-비례대표 연동제’에 반대 의사를 명확히 하면서 지역구를 7석 늘리고 그만큼 비례대표를 줄이는 안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독일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등을 예시하면서 비례대표를 더 늘리거나 최소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맞섰지만 비례대표 증원에 거부하는 새누리당에 대해 “비례대표제 취지를 구현할 대안을 만들어오지 않았다”며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민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