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버스터 정국 득실 계산
새누리당은 침묵하는 다수가 여권의 지지층이라는 점을 감안해 법안 처리라는 국회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민생 정당’의 이미지를 확고히 했다는 분석을 하고 있다.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필리버스터로 국회를 마비시키면서 민생의 발목을 잡는 정당이라는 프레임이 굳어진 것이 결국 선거에서는 여당에 유리한 구도로 흐르면서 ‘야당 심판론’이 힘을 얻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필리버스터 종료에 맞춰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당청관계 공조를 강화해 총선을 앞두고 민생모드로의 전환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적극 뒷받침하는 한편 서민생활 안정과 침체된 경제살리기를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4·13 총선은) 경제를 살리는 정당과 경제활성화를 막는 정당의 싸움”이라며 “누가 과연 민생을 챙기는 정당인지 똑똑히 국민께서 인식하시고 심판하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선진화법으로 마련된 필리버스터를 가동하면서 테러방지법을 막아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을 등에 업게 됐다.
하지만 반대로 문구조정이나 수정안 수용이라는 현실적인 이득 없이 사실상 스스로 꼬리를 내린 격이라는 비판도 함께 얻게 됐다.
젊은 층을 위주로 인터넷이나 SNS 등에서 필리버스터에 참여한 의원들이 호응을 얻거나 필리버스터를 통해 국회의 진정한 모습을 처음 접하게됐다는 여론도 나타났다는 점은 더민주가 야권 제1당으로서의 포지션을 확고히 하는 기회로 작용됐다.
더민주로서는 이번 필리버스터를 통해 야권이 결집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도 하나의 수확이다. 이를 바탕으로 김종인 비대위 대표는 이날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권에 대해 총선에서 통합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필리버스터의 출구전략을 두고서 당내 이견이 나타나는 등 매끄럽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는 점은 필리버스터를 통해 얻은 이득을 상쇄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