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언호 국립한국문학관 파주 유치 시민추진단장 “세계문학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 파주가 유일”

“직접 국립한국문학관 파주유치 공모제안 발표를 하고 싶네요”

 

파주시가 국립한국문학관파주유치를 선언한 가운데 최근 시민추진단장으로 선출된 김언호파주출판도시문화재단이사장(71). 한국문학출판의 세계화를 위한 활동만을 고집해온 김이사장이 올 상반기 공모인 국립한국문학관 시민추진단장을 맡은 것은 그래서 의외였다. 하지만 문화주의자인 그가 시민추진단장을 맡은 것은 “시대흐름을 읽기때문이다”라고 언급했다.

 

봄기운이 완연했던 지난 13일 ‘파주출판도시’ 한복판에 자리잡은 한길사를 찾아 “왜 시민추진단장을 맡았느냐”며 물은 기자에게 김 이사장은 “문화예술이 경제가 되는 시대다. 파주가 선점해야 한다”고 말했다. 1976년 오직 한길이라는 한길사를 창립해 대표로 있는 그는 파주헤이리예술마을을 구상했고 1968-1975년까지 동아일보기자를 엮임한 해직 언론인출신인데 문화예술를 컨텐츠로 하는 경제발전 위해서는 국립한국문학관유치가 절실하다는 논리다.

 

억센 경상도사투리를 쓰는 김 이사장은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문학의 세계화, 세계문학의 한국화 그리고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이 소통해야 하는 공간이다”며 “최적의 소통공간으로 파주출판도시말고(48만평) 대한민국에 없다”고 단언했다. 1980년대부터 400여출판인들이 출판문화ㆍ자유위해 파주출판도시를 건설하고 한국, 중국,일본,대만,홍콩등 동아시아 출판인회의를 조직해 국제네트워크를 형성한 파주출판도시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는 “파주는 책축제인 파주북소리같은 국제규모 문학적 프로그램과 24시간 개방형인 길이 3km 최고높이 8m 30만권보유 초대형 서가인 ‘지혜의 숲’같은 책읽는 공간이 운영되고 있다”며 “남북문학통합시대를 여는 통일중심도시로 인천ㆍ김포공항도 가깝다”고 말했다.

 

이어 “공장아닌 예술작품급인 700여개의 출판사들이 운영하는 창작공간이 국내외작가들에게 제공되고 해마다 300여개에 이르는 인문학당도 운영되는데 그 뒤에 야외생태문학공원ㆍ문학박물관이 뒷받침되어 이 일대가 문학관광벨트를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강과 인접한 파주출판도시는 중앙을 관통하는 4km 의 샛강을 걷다 유명출판사를 마주쳐 책을 읽게 되는 독특한 구조로 국내외 유수의 출판문학관계자들이 행정,기획,출판정보관계등을 살펴보기위해 단골견학코스로 인기가 높다고도 했다.

 

김 이사장은 “문학은 출판으로 영상으로 연계돼야 그 빛을 발한다”며 “ 이 조건을 갖춘 파주출판도시에 12만명 서명을 받아 국립한국문학관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