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있는 아침] 꺾인 덜꿩나무의 생

가을 산행길

무릎 정도의 생소한 나무 한 그루

‘ㄱ’자로 꺾여 있었다

아빠를 따라 나선 개구쟁이가 꺾었을까

장난이, 운명이 되어버린

꼽추는 살아갈 세월만큼이나

두려워 떨고 있었다

어찌 할거나, 어찌 할거나

구부러진 한평생을 어찌 살아낼거나

내 삶만 같아, 내 아픔만 같아

꼽추의 생은 어찌 할거나

기억의 흙벽 위에

아린 만큼의 깊이로 새겨진 채로

아주 작은 시간 하나가 지나가고

다시 찾은 겨울산

등 굽은 기억 하나 가로막고 서서

여기 근처라 한다

여기라, 여기 근처라고?

어디였더라?

아, 저기로구나

이토록 그의 상처가 가벼웠을까

기억에서 한참 떠난 자리에

꼽추는 말을 잃은 채

굽은 등으로

눈을 받아 내고 있었다

*덜꿩나무 : 해발 1천200m 이하에 서식하는 인동과 식물

공광복

전남 화순 출생. 전남대학교 수학교육과 졸업,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 석사. <수원문학>(시조) <한국시학>(시)으로 등단. 한국경기시인협회 회원, 수원문인협회 회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