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시설 이전” 김포 해평마을 3년째 거리로

대책위 “60년 넘게 고통” 반발 vs 17사단 “주민요구 검토” 갈등 고조

▲ 누산지구 주민들 17사단집회
▲ 김포시 양촌읍 누산지구 군사시설 이전 주민대책위원회가 13일 인천시 부평구 17사단 앞에서 군 시설물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

군 시설로 택지개발지구에서 제외된 김포시 양촌읍 누산5리 ‘해평마을’ 주민들이 이전을 촉구하며 또다시 거리로 나섰다. 3년째다.

 

누산지구 군사시설 이전 주민대책위원회는 13일 인천시 부평구 17사단 앞에서 마을에 설치된 무자재 진지 등 군 시설물 이전을 촉구했다.

 

200여 명의 주민은 집회에서 “안보라는 이유만으로 현대전에서 진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군 시설물을 유지해 주민들의 삶을 옥죄는 것은 현대전의 양상을 도외시한 전형적인 무사안일”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현대전에 맞춘 작계수립은 뒷전인 채 박물관에나 들어가야 할 구시대적 작계만을 내세워 군과 상생차원에서 ‘주민비용으로 현대화된 진지를 구축해주겠다’는 주민 제안마저 거부하는 것은 군에 대한 불신을 넘어 안보마저 불안케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민 이승우씨는 “허물어져 가는 진지에서 1년에 서너 차례 하는 훈련이 고작인데, 안보와 작전이라 이유로 60년 넘게 주민 고통을 외면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비판했다.

 

50여 세대 200여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해평마을은 한강신도시와 양곡신도시 사이에 놓여 있는 자연부락으로, 한국전쟁 이후 마을 뒷산에 교통호 등 50여 곳의 무자재 진지가 설치돼 있다. 당초 이 마을도 2003년 수립된 한강신도시개발지구에 포함됐던 곳이다.

 

그러나 군의 방어선 개념에 묶이면서 신도시지역에서 제외돼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주변과 달리 60년 전 모습 그대로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007년 이 마을을 노후불량주택 취락지구개선사업지구(누산지구)로 ‘2020 김포시도시기본계획’에 반영했고, 주민들은 이에 맞춰 도시개발사업추진위를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주민들은 2013년 시에 도시개발구역지정 제안서를 접수, 농림부 등 30개 부서 기관협의를 마치기도 했다.

 

하지만 군이 ‘부동의’하면서 도시개발은 물거품이 됐다. 주민들은 지난 3년 동안 국가권익위원회와 군에 탄원서를 제출한 데 이어 국방부와 수도군단, 17사단 앞에서 네 차례의 집회에 나서고 있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

 

이영길 주민대책위원장은 “지난해에만 2차례 군 협의를 냈지만, 모두 부동의 처리됐고 책임자가 바뀔 때마다 재검토한다는 얘기뿐이다”며 “사유지 무단점유에 불만이 있으면 소송으로 해결하라고까지 하는 것은 정부가 타파하려는 공무원의 복지부동과 소극행정 그대로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17사단은 “주민 요구를 면밀히 검토 중이다”는 입장을 재차 밝혀왔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