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면서]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 실천해야 할 때

20대 총선이 막을 내린지 며칠 지났지만, 누구도 예상치 못한 결과 때문인지 엄중한 민심의 향배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등 총선 열기는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정치권을 향하고 있어 관심을 끈다.

 

총선이 치러진 지 이틀째 날인 지난 15일 장애인단체 등으로 구성된 ‘2016총선장애인연대’는 ‘새로운 국회는 소외계층, 특히 사회의 편견과 차별, 빈곤과 절망에 놓여 있는 장애인계층을 위한 관심을 갖기 바란다’는 논평을 내놨다. 서민과 소외계층은 오간데 없고, 정치인 자신들만을 위한 정치쇼 판처럼 보였던 이번 총선 과정을 국민 모두 지켜본 터라 20대 국회를 겨냥한 소외계층 관심 촉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201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장애인 수는 249만4천460명이다. 등록되지 않은 장애인과 노약자를 포함한 소외계층의 실제 수는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들어 장애인을 비롯한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과거에 비해 높아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점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와 이들의 정보 접근실태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는 큰 차이가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 복지 지출 비율은 꼴찌에서 세 번째이다. 장애인의 고용률은 37%로 이들의 낮은 경제 활동도 문제이지만 정보의 접근이 쉽지 않다 보니 정보격차(digitaldivide)로 인한 문제는 더 심각한 수준이다.

 

소외계층에 대한 정보격차는 국내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주요 이슈로 거론된다. 2013년 미국에서는 정보 취약계층 중 발달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선언문을 통해 이들의 정보접근 권리를 밝힌 바 있고,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라고 한다.

 

선언문의 목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통해서 장애인들의 인터넷 이용을 쉽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이들의 장보격차를 줄이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장애인 각자에 맞는 인터넷 사용 프로파일을 만들고, 그가 인터넷에 접속하면 자동적으로 자기에게 맞도록 꾸며진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이 자기 프로파일을 표시 한 뒤 인터넷에 접속할 경우, 그가 이해하고 쉬운 형태의 언어로 바뀌거나 알기 쉬운 단어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것뿐이 아니다. 시각장애인에게는 텍스트를 읽어 주거나, 글자크기와 배경색깔 등이 접속하는 사람의 장애 유형에 맞춰서 사용하기 쉽게 바뀐다고 한다.

 

이처럼 국제사회에서는 정보격차 문제 해소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이런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이 한참 부족해 보인다.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해당 단체가 발표한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우리나라 장애인 가구의 컴퓨터 보유율 격차(6.6%p)는 감소하는 반면, 전체 국민 대비 인터넷 이용률 격차(25.4%p)와 스마트폰 보유율 격차(34.4%p)는 여전히 크게 나타나는 추세다.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 등 장애인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도 절실하다.

 

해마다 4월20일이면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는 행사가 여러 단체와 기관에서 다양하게 펼쳐진다. 장애인의 날은 올해로 서른여섯 번째다. 사람의 나이로 보자면 성숙해질 수 있는 시기다. 며칠간의 반짝 행사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장애인들을 위하는 실천, 정보격차를 해소할만한 실효성 있는 해법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김정순 신구대 미디어콘텐츠과 겸임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