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가 지난 2013년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돼 기대를 모았으나, 해마다 관련 예산이 줄고 있는데다 시의회조차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이 적다는 이유로 관련 예산 축소를 요구, 지정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시에 따르면 평생학습도시는 시민이 배움을 함께 하며 학습공동체를 형성해 개인과 지역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학습공동체 건설을 도모하는 총체적 도시재구조화 운동으로, 시는 지난 2013년 교육부로부터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돼 받은 동판을 시청 로비에 전시하고 있다.
시는 당시 농촌 학교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역학습관과 지역 실정에 적합한 평생학습 프로그램, 지역의 소외계층을 주 타깃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된 지 3년여 지난 현재 예산이 해마다 줄어들면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등 선정 의미가 퇴색하고 있다. 특히, 다른 시군은 평생교육 담당 업무를 과 단위로 승격해 운영하는 곳도 있으나, 시는 팀제인데다 직원 4명 중 팀장과 주무관 1명을 제외하면 기간제와 임시직으로 구성돼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관련 예산도 평생교육도시 선정 당시 국비 1억9천800만 원, 도비 1천800만 원, 시비 3억3천400만 원 등 5억5천만 원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했으나, 지난해에는 국비 800만 원과 도비 1천200만 원, 시비 2억8천만 원 등 3억 원으로 줄어들었으며, 올해에는 시비가 2억7천600만 원으로 줄어드는 등 매년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성인 비문해자를 위한 한글교실, 방과 후 아동지도사, 양주행복아카데미, 장흥작은도서관의 펜캘리그라피 등 주민들로부터 인기를 끄는 프로그램도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주민 지모씨(51)는 “시가 평생학습도시에 걸맞게 예산도 늘리고 평생교육관 확충, 차별화된 프로그램 마련 등 많은 주민이 평생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한 부분은 공모사업을 통한 국비 확보로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다”며 “평생교육 혜택을 받지 못하는 주민을 위해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나, 권역별 학습관 운영을 통해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