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산층 주거안정’을 위해 민간임대주택의 공급을 촉진하고자 뉴스테이(공급촉진지구) 제도를 마련한 가운데, 남양주시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제안에 따라 ‘남양주 진건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지정을 위한 주민공람을 공고하자 다산신도시 입주예정자 등 시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2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8일부터 오는 13일까지 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진건읍 진관리, 배양리 일원 91만5천㎡에 대해 ‘진건 자족형 뉴스테이’ 조성에 대한 주민공람 공고를 진행 중이다.
올해부터 오는 2020년까지 계획한 이 사업의 토지이용 계획(법상 가처분 면적의 50%를 뉴스테이 용지로 계획)은 주택(36.6%), 자족(16.7%), 판매ㆍ업무(2.7%), 기반시설(42.4%), 기타(1.6%) 등으로 건설호수는 6천584호(뉴스테이 5천838호)이다.
시는 진관일반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도시 첨단 R&D 등 자족시설을, 주변 배후주거지로 뉴스테이를 배치한 ‘자족형 뉴스테이’로 전국 최대 규모의 개발을 통해 일자리와 주거를 동시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주민공람 공고 개시와 동시에 다산신도시 입주예정자 및 인근 주민이 반발하고 있다. 관련 부서에는 사업철회를 요구하는 민원 전화가 빗발치고 시청 홈페이지에는 이날 현재만 100여 개가 넘는 반대 게시글을 올라 있다.
다산신도시의 입주 예정자 A씨는 “교통도, 학교도 완성되지 않은 도시에 전 재산을 넣어 청약한 사람의 의지를 꺾는 행위다”며 “이는 명백한 사기분양으로,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B씨도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남양주 금싸라기 땅을 ‘기업형 임대주택 용지로 내주는 것은 남양주를 완전한 베드타운으로 전락시키는 행위”라며 “광역교통대책이 없는 지구 지정은 기존 남양주 시민에게 엄청난 고통을 안겨주게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L H 측의 요구대로 13일까지 공람기간을 거쳐 국토부에 결과 보고서를 올릴 예정이다”며 “사업 자체가 국가정책의 일환이고 LH에서 수행하는 사업이라 반대 혹은 찬성한다고 시에서 어떻게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진건 자족형 뉴스테이 사업은 올 하반기 지구지정과 내년 상반기 지구단위 계획을 거쳐 2018년부터 택지공급, 입주자 모집에 들어가 2021년부터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