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연지 1년 넘도록 상담실적·내용파악 등 운영실태 점검 ‘뒷짐’
‘민의 수렴’ 취지 퇴색… 도의회 “안정화되면 관리방침 보완”
경기도의회와 지역 주민간 소통 공간인 ‘지역 상담소’가 모텔촌에 위치해 논란(본보 2일자 2면)을 빚고 있는 가운데 지역 상담소를 관리감독해야 할 도의회가 상담건수만을 단순 집계하고 세부 상담내용 등은 일절 파악하지 않는 등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소 1년이 넘도록 각 지역 상담소에서 어떠한 내용의 민원이 들어왔는지 확인조차 할 수 없는 구조여서 매년 14억 원가량의 예산이 투입되는 지역 상담소가 유명무실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2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민생의회임을 자칭하고 있는 9대 의회의 특색사업으로 지난해 4월부터 9월까지 도내 31개 시ㆍ군에 지역 상담소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지역 상담소는 지역 주민의 입법ㆍ예산 관련 정책건의와 지역현안, 생활불편 사항 등에 대한 의견을 신속하게 수렴, 주민이 겪고 있는 애로를 해소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도내 31개 시ㆍ군 지역 상담소에는 사무실 임대료, 인건비, 물품비 등 매년 1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런 가운데 지역 상담소의 운영 상태를 관리ㆍ감독해야 할 도의회가 시ㆍ군별 상담실적을 별도로 파악하지 않은 채 총계만을 단순 집계하는 것은 물론 세부 상담내용은 일절 파악하지 않는 등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ㆍ군별 지역 상담소에는 기간제 근로자 1명이 각각 배치돼 소속 지역 상담소의 하루 상담실적을 도의회에 전달하도록 돼 있는 구조이지만 의원과 지역 주민간 민원 내용 등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실제 도의회의 지역 상담소 운영실적을 보면 지난 3월말까지 상담건수는 총 1천830건으로 집계됐지만 접수된 민원의 세부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 더욱이 각 지역 상담소별 상담건수도 나뉘어 있지 않아 실적 비교 자체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개소 1년이 되는 시점에서 도의회가 지역 상담소의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보완해야 함에도 불구, 어느 지역 상담소가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어떠한 민원이 접수됐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 수집조차 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지역 도의원들이 상담소별 실적을 비교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탓에 상담소별 실적 관리를 거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도의회 관계자는 “지역 상담소에서 상담건수 등을 보내오지만 지역별로 따로 분류해 실적을 관리하고 있지는 않다”며 “지역 상담소가 안정화 되면 시ㆍ군별 상담실적 관리, 민원상담 세부내용 관리 등 운영 방침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수정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