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8일 보도자료를 통해 형식적이고 분산된 현 정부의 저출산고령화 정책 관리ㆍ감독의 역할을 위해 13명의 의원이 의기투합, 특위 구성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결의안 참여 의원은 김 의원을 비롯해 같은 당 한선교, 권성동, 김성태 의원 등 11명, 더불어 민주당 서형수, 국민의 당 황주홍 의원 등 13명이 공동발의에 참여했다.
이번 김 의원의 발의는 지난 19대 국회부터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김 의원이 의정 활동 우선순위 과제로 삼았다.
이에 따라 김 의원은 20대 국회개원 첫 의안으로 정부의 저출산고령화 대책을 점검ㆍ관리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내실있게 준비하고자 했다.
이는 오는 2018년 대한민국이 고령사회와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에서 지난 2005년 대통령 소속 저출산 고령화 사회위원회를 신설ㆍ운영하고 있으나 형식적이고 분산된 정책으로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김 의원은 밝혔다.
이에 김 의원은 “국가든 사회든 사람은 원천적인 성장동력이다”며 “현 저출산고령화 대책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결혼을 두려워하지 않고 젊은 부부들이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국회가 견인차 역할을 해내겠다”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