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유공표창 후보선정 논란 확산

A국장 하지도 않은 세월호 봉사까지 공적 포함
市 “팽목항서 근무 파악… 내용 면밀히 검토 못해”

안산시가 새마을운동 우수 공직자를 선정하면서 후보자와 관련 없는 내용을 공적에 포함, 논란(본보 9일자 14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A국장이 교육중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봉사 내용까지 공적에 포함한 사실이 드러나 비난을 사고 있다. 

이 가운데 A국장은 12명으로 구성된 유공자 추천 공적심사위 부위원장을 담당하고 있어 공적심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었겠느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9일 경기도와 안산시 등에 따르면 A국장의 유공자 추천 공적조서 개요서에는 국토대청결운동 추진 등 총 7개의 공적이 포함돼 있으며, 공적조서(을)에는 세월호 피해와 관련한 새마을회 봉사활동에 참여한 것으로 적시돼 있다.

공적 가운데 ‘자원봉사활동 적극 참여 및 활성화 지원’ 내용에는 세월호 피해와 관련 새마을회 봉사활동에 참여해 ▲진도 급식봉사 ▲분향소 안내 ▲국화꽃 다듬기 봉사 등을 했다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한 지난 2014년, A국장은 4급 승진으로 인해 같은해 2월12일부터 연말까지 전북 완주군에 소재한 지방행정연수원에서 교육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돼 빈축을 사고 있다.

 

이에 세월호 특조위 오지원 피해자지원점검과장은 “세월호 참사로 인해 많은 공직자들이 애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끼워넣기식 포상은 피해자들에게 또 다른 아픔을 주는 행위에 불과하다”며 “참사의 최대 피해지역인 안산에서 그런 행위가 벌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시의 공심위는 부시장을 위원장으로 부위원장인 A국장 등 국장 5명과 구청장 2명 그리고 감사관실 및 총무과 공직자 12명으로 구성돼 있어 대상자인 A국장이 부위원장직을 담당하는 게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A국장은 공적 심사에 직접 참여하지 않아 문제가 없으며 대상자가 없어 A국장을 후보자로 선정하게 됐다”며 “지난 2014년 8월1~3일 팽목항에서 근무를 한 것으로 파악됐으며, 공적에 포함된 내용들은 새마을회에서 봉사한 내용이라 포함시켰고 관련 내용을 좀더 면밀하게 검토하지 못한 점이 있다”고 해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