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인근 지자체와 비교해 노인복지 예산 및 시설 인프라가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나 고령화시대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0일 안양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대학교수와 관계 공무원, 시의원 등으로 이뤄진 ‘안양시 복지발전계획수립추진 TF팀’을 구성하고 도내 시ㆍ군을 비교대상으로 노인 복지예산 및 복지생활시설 연구조사를 벌였다.
이 결과, 안양시의 노인복지 예산 현황이 조사대상 지자체 가운데 최하위권(13위)으로 나타나 노인복지분야 정책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6만여명의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안양은 노인 1만명당 복지예산은 913여만원에 불과했다. 1만명당 노인복지 예산이 1천771여만원인 수원시와 비교해 2배 가량의 차이가 났다. 인근 지자체인 군포시는 1천724여만원, 의왕시도 1천730여만원으로 나타났으며 과천시 역시 1천659여만원이었다.
또 13개 시의 노인 1만명당 평균예산액은 1천450여만원인 것으로 분석돼 안양시는 13개 시의 평균 예산액보다도 크게 밑돌았다.
이와 함께 노인복지생활시설 현황조사에서도 안양시는 1만명당 시설수가 6.1개소로 안산시(22.2개소)와 3배 이상 차이가 났다. 화성시(17.1개소), 남양주시(16.2개소), 부천시(14.9개소) 등 여타 지자체에 비해 노인복지 시설과 인프라가 취약한 점이 드러난 셈이다.
이처럼 안양시의 노인복지분야가 도내 지자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크게 취약하자 일각에서는 노인 복지를 위한 중ㆍ장기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취약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초자료를 수집ㆍ검토하고 있다”며 “이를 토대로 중ㆍ장기 계획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조사는 안양시를 포함한 50만 이상 대도시(수원ㆍ고양ㆍ용인ㆍ성남ㆍ부천ㆍ안산ㆍ남양주ㆍ화성ㆍ평택)와 인근 지자체(군포ㆍ의왕ㆍ과천) 등 13개 시ㆍ군을 대상으로 ▲복지재정 및 장애인 분야 ▲민간자원 연계 및 동 복지기능 강화 ▲시설현황 등 복지인프라 분석 등 3개 분야에 대해 이뤄졌다.
안양=한상근ㆍ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