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도하는 에너지계획이 석탄화력발전 위주로 추진되는 것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며, 석탄화력발전을 줄이는 것은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동시에 감축할 수 있는 첫 번째 행동이다”
안산ㆍ당진시, 노원ㆍ강동구 등 4개 지자체가 공동 주최하고 안산시가 주관해 지난 9일 국회 의사당에서 열린 ‘국가에너지계획 전환을 위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제시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 대안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최근 석탄을 사용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인해 국민의 건강이 우려됨에도 정부가 화력발전소 증설을 추진하고 원거리 송전 과정에서 주민과의 갈등이 계속되는 등 국가에너지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정부의 인식 전환을 촉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종길 안산시장의 개회사와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의 축하 영상을 시작으로 막으로 연 심포지엄에서는 ▲당진의 오늘, 그리고 사람을 위한 에너지정책의 미래(김홍장 당진시장 ) ▲신 기후체계와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에너지전환과 에너지 분권(서울대 환경대학원 윤순진 교수) ▲국가에너지계획 전환의 방향(환경운동연합 양이원영 처장) ▲재생에너지에 기반을 둔 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 방향(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이상훈 소장) 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토론에서 신윤관 안산환경재단 대표는 “국가의 에너지 계획에 지방을 참여시키고 지자체의 신재생에너지 확충을 위한 인센티브 확대와 시민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은 “신재생에너지 확충을 위한 기금조성과 지방에너지 계획에 시민이 참여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제 시장은 “그동안 국가에너지 정책과 기후변화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해 왔지만, 실천을 못 하고 있다”며 “당진시 화력발전소 문제를 계기로 안산을 비롯한 여러 지차체와 협의체를 구성해 정부에 에너지 분권과 관련 강력한 의지와 행동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4개 지자체는 앞으로 광역단위의 ‘국가에너지계획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협의회’를 구성, 자체 에너지 생산 및 이용에 관한 연구활동 등을 통해 정부와 지역에너지 정책을 함께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방침이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