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3당 대표 회동
野 “禹 사퇴시켜야”… 朴대통령 “수사결과 보겠다”
세월호 특별법 연장·검찰 개혁도 이견만 재확인
‘북핵 규탄’에만 한 목소리를 냈을 뿐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에 대해선 여전히 평행선을 달렸다.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선 검찰의 수사 결과를 지켜본다는 박 대통령의 기존 입장만 재확인됐다.
■‘북핵 대응’ 여야 협력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등 여야 3당 대표는 12일 청와대에서 회동을 갖고 최근 북한의 5차 핵실험 등 심각한 안보위기에 강력히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 대통령은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대표 회동에서 북한의 5차 핵실험 등 엄중한 안보위기 상황을 설명한 뒤 위기 타개를 위한 초당적 협력과 국민적 단합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과 두 야당은 북핵 문제 등 안보 이슈에 대해선 정부에 협력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여소야대로 출범한 20대 국회에서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만난 것은 처음이다.
박 대통령은 우선 최근 해외순방에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요국 정상과의 연쇄 회담 결과를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북한의 5차 핵실험으로 인해 긴장 상태가 높아지고, 안보나 경제에서도 위험 요인이 많은데 이런 때일수록 정치권이 한마음으로 가는 모습을 보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안보에 대해 국민 걱정을 덜고 북한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갖고, 우리의 합의된 강력한 의지가 담긴 회동이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 ‘사드배치’ 반대…‘우병우 거취’ 이견
해법을 놓고는 의견이 갈렸다. 박 대통령은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한 제재 등 대북압박만이 해결책이라고 했다. 그러나 추 대표와 박 위원장은 대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드 문제에 대해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박 대통령은 사드 배치는 북한의 핵·탄도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한 자위권적 조치로서 불가피한 선택임을 거듭 강조했다. 반면 두 야당 대표는 사드 배치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섰다.
우 수석의 거취 문제에 대한 박 위원장의 질문에 박 대통령은 “검찰 특별수사팀에서 조사 중인 만큼 결과를 지켜보겠다”고 답했다. 확인되지 않은 의혹만으로 물러나게 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확인한 셈이다. 그러나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우 수석의 거취에 대해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세월호 특별법 기간 연장과 검찰 개혁과 관련해서도 달라진 것은 없었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특별법 기간 연장은 특별법의 취지와 재정적, 사회적 비용을 감안해 결정하겠다”며 “검찰 개혁은 자체적으로 한다고 하는 만큼 국민 눈높이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답했다.
박 위원장은 안보 문제 논의를 위한 여ㆍ야ㆍ정 안보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으나 박 대통령은 즉각 거부했다. 한ㆍ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한 소녀상 문제와 관련, 야당은 소녀상 철거 절대 반대 뜻을 전달했다. 박 대통령은 “한ㆍ일 합의 내용에는 소녀상과 관련된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고 박 위원장이 전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