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가처분소득도 함께 증가하였지만 가계대출 증가로 실질적 소득은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성원 의원(새누리당, 동두천·연천)이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 현황과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대출 현황에 따르면 ‘11년~’15년까지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19만원에서 478만원으로 증가했고 ▲가처분소득도 697조 8천억원에서 837조 2천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가계대출이 864조 4천억원에서 1천138조원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대출 비율은 연평균 127%를 상회했다.
특히 가계대출 규모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폭증하면서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가계대출 잔액은 1천138조원으로 가처분소득의 1.3배(135%) 수준에 이르렀다.
결국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대출 비중이 높을수록 소비와 저축은 그만큼 자유로울 수 없다는게 김 의원의 분석이다.
이에 김 의원은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그 규모와 증가속도에서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고 최근에는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전제한 뒤 “소득 및 가처분소득이 증가하더라도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대출 비중이 늘어날수록 실질적 체감소득은 감소할 수밖에 없고 금리상승 시 이자부담을 가중시켜 저축률 하락과 소비위축을 불러와 더욱더 실질소득 감소 현상을 체감할 것이다”며 “금리상승이 소득감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금융당국은 사전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