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법적으로 문제없다 공사강행 방침. 주민들-몰랐다, 피해보상안없이는 안돼
한국전력이 내년 개통 예정인 구리∼포천 고속도로 신북IC 인근에 추진 중인 3개의 송전탑 건립을 둘러싸고 갈등이 빚고 있다.
한전은 주민설명회와 의견청취 열람공고까지 마쳐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공사를 강행할 방침이지만, 인근 주민과 토지주들은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고 토지매수 방침에도 따를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17일 한전과 포천시, 신북IC 인근 주민 등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부터 154kV 용정분기 송전선로 건설사업지인 신북면 가채리 일대 2천75m²에 송전탑 3개를 세우기로 하고 지난해 7월30일 신북면사무소 2층 강당에서 주민설명회를 가졌다.
이어 지난 8월2일부터 17일까지 ‘154kV 용정분기 송전선로 건설사업’ 시행에 따른 주민의견 청취 열람공고를 하자 토지 소유자와 관계인 등 9명은 의견을 제출했고 이 과정에서 인근 주민에게도 소식이 알려져 반발이 가시화됐다.
주민들은 “송전탑이 세워진다는 사실은 전혀 모르고 있었다”며 “마을에 고압선로 송전탑이 들어서면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지가 하락과 극저주파 자기장 발생으로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가채리 한 이장은 “토지주 등 몇 명이 모여서 형식적으로 주민설명회를 했는지는 몰라도 마을에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적절한 보상이나 협의 없이 공사를 강행한다면 강한 반발에 부딪힐 게 뻔하다”고 말했다.
토지주들도 토지 매수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송전탑 예정부지 안에 있는 A씨는 “전체 토지 1천600m² 중 3분의1인 506m²만을 매수하겠다고 알려왔다”며 “고압선 송전탑 밑에 있는 나머지 토지는 건축할 수도 없고 농사도 지을 수 없는데 한전 측은 ‘토지보상법’상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혀 와 분리 수용에는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전 경인건설처 관계자는 “주민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분한 설명을 했으며, 시가 요구해서 전기를 공급한 만큼 송전탑 부지 내 토지 외에는 어떠한 보상안도 가지고 있지 않다”며 “현재 산자부로부터 송전탑건립을 위한 사업승인을 신청해 대기 중이며, 예정대로 내년 1월 중에 송전탑 공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용정산업단지는 서장원 전 시장 시절 역점적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기업을 유치해 놓고 이제 와서 전기공급을 안 할 수는 없다”며 “대의적으로 한전과 주민이 조금씩 양보해서 원만히 합의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