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전력 끊기고 신호 장애…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 3개월새 113억 손실

잦은 사고에 올해 안전요원 운영비만 17억여원 지출
책임소재 가리는 데 상당시간 걸려 혈세로 메울 판

인천지하철 2호선이 개통 3개월 만에 운행장애 여파 등으로 1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2호선 건설 시공사 및 차량 납품업체의 책임을 물어 법적 소송을 준비한다는 입장이지만, 업체들의 책임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으면 그 손실은 시민들의 혈세로 부담할 처지에 놓였다.

 

30일 시와 인천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7월30일 개통한 인천지하철 2호선은 최근까지 정비고장(전차선 단전, 열차고장, 신호장애)과 기타사고(유아 발빠짐, 선로 무단침입) 등 모두 11건의 운행장애가 발생했다. 특히 개통 후 1주일 사이에 무려 9건의 운행장애가 집중, 운영사인 교통공사 주도로 개선조치가 완료됐거나 현재 개선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렇다 보니 3개월 사이 교통공사가 2호선 운행장애로 입은 손실이 113억8천847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 내부 집계를 분석해보면 운행장애에 따른 운수분야에만 5천118만8천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세부적으로는 승차권 반환 783건(99만3천원)과 간접적 사고발생일 수입금 감소분 등이다.

 

또 이미 완료됐거나 현재 진행 중인 시설분야 개선사항을 보면 차량기지 내 집전슈(Power Collector Shoe) 결빙방지를 위한 캐노피 및 유치선 정비통로 설치, 각 역사 승강장 출입구와 전동차 거리가 5㎝가 넘는 곳의 장애인 안전발판 설치 등 모두 5개 분야 46억1천340만원에 달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임시 안전요원 운영이다. 당초 시와 교통공사는 개통 초기에 따른 운행 안정화 단계인 2개월만 임시 안전요원을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르면서 운영이 연장되다 보니 올해만 17억2천288만원의 운영비를 지출했다. 내년까지 안전요원 운영할 계획을 포함하면 필요한 운영비만 67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2호선 운행장애 손실 보상요구가 시공사 측에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아 엉뚱하게 운영사인 교통공사가 그 부담을 떠안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다. 교통공사는 시공을 담당한 시 도시철도본부에 운행장애 손실을 책임져달라고 요청했지만, 도시철도본부 측은 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런데도 시와 도시철도건설본부 측은 이미 시공사와 또 다른 문제인 차량 일주시간(기점에서 종점까지 한 바퀴 도는 시간)을 두고 다툼을 벌이고 있어, 운행장애 손실을 추가로 요구할 여력이 없다.

 

결국 운행장애 손실도 시공사 등과 분쟁이 불가피해 책임소재를 가리는 데 상당한 시일이 필요하다 보니 시가 재정으로 추가비용을 우선 지불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교통공사의 한 관계자는 “인천지하철 2호선 건설업체들이나 전동차량을 납품한 현대로템 컨소시엄은 도시철도분부가 담당하고 있어, 교통공사가 업체들과 직접 대응할 수 없는 형편”이라며 “이후 시와 도시철도본부 측의 후속조치를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시 도시철도본부의 한 관계자는 “운행손실에 대해 파악은 하고 있으며 계약서 검토를 통해 법적 대응 여부를 고민 중이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