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ㆍ당진항을 통해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카페리선사의 한국 지분이 중국에 잠식당하면서 소무역 활동을 벌이는 보따리상도 중국인으로 바뀌고 있다.
17일 시와 소무역연합회 등에 따르면 평택ㆍ당진항에선 중국 르자오(日照)·옌타이(煙臺)·웨이하이(威海) 등 3개 한중 카페리항로가 운항하고 있다. 이들 항로의 경우 1개 선사에 500여 명씩 총 1천500여 명의 보따리상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종전 50대 50이던 한ㆍ중 선사 지분이 90% 이상 중국 지분으로 바뀌면서 중국 보따리상도 지난 2011년 20%에서 지난 2014년 50%, 지난해 70%, 올해 80% 등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 평택ㆍ당진항에서 중국 르자오를 운항하는 일조국제훼리㈜는 자본금의 75%, 웨이하이를 운항하는 위해교동훼리㈜는 98.5%가 중국 자본으로 잠식당했다.
옌타이 항로의 연태훼리㈜는 50대 50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재정·인사 등 권한을 중국 본사가 담당하고 있다. 이 때문에 60∼70대 고령인 한국 보따리 상인들이 30∼40대 젊은 중국 상인들에게 자리를 내주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지난달 말 현재 중국 보따리상은 르자오 항로의 83%, 옌타이 항로 70%, 웨이하이 항로 85% 등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소무역연합회 최태용 이사장은 “중국 상인이 급증하다 보니 중국 세관에서 한국 상인의 물품에 대해 더욱 철저하게 관세업무를 진행하는 등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중 카페리 선박회사가 중국 자본에 잠식당하면서 보따리상도 중국 상인에게 점령당하고 있다. 한국 보따리상은 평택항에서도 세관의 단속이 심해 곧 중국 상인만 남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