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중립의원 찬반 설득작업 주력
野, 부결 땐 의원직 총사퇴 배수진
여야 각 정파는 이해관계에 따라 각각 찬성표와 반대표 단속에 사활을 거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야권은 부결시 의원직 총사퇴를 결의하는 배수진을 치고 국회 촛불집회와 철야농성 등을 이어갔다.
새누리당 친박(친 박근혜)계는 탄핵안 부결을 위해 초ㆍ재선 등 중립성향 의원들을 대상으로 물밑 설득 작업에 주력했다. 이정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간담회에서 ‘4월 퇴진ㆍ6월 대선’ 당론을 거듭 거론하며 찬ㆍ반 고민중인 의원들의 표심을 겨냥했다.
이 대표는 특히 ‘세월호 7시간’을 거론하며 당내 비주류와 야당간 틈새 벌리기에 주력했다. 그는 “대통령 직무를 바로 정지시키는 중차대한 탄핵안을 제출해놓고 하루 전날까지도 세월호 7시간을 넣냐, 빼냐를 갖고 논의하는 경솔함과 기막힘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비주류 중심의 비상시국회의는 탄핵안 통과를 주장하면서도 ‘세월호 7시간’ 대목은 제외돼야 한다는 요구를 야당이 수용하지 않은 것과 관련, 당내 일부 중도 성향 의원들이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을 우려했다.
대변인격인 황영철 의원은 브리핑에서 “탄핵안 통과에 최선을 다해 마지막까지 노력할 것”이라며 “탄핵안은 반드시 통과할 것이라 본다”고 밝혔다.
김무성 전 대표는 “이번 탄핵 표결은 헌정질서를 바로 잡기위한 헌법 절차”라면서 “대한민국에서 최고 권력에 의한 권력의 남용 및 사유화, 측근 비리가 크게 줄어드는 계기가 되리라고 확신한다”며 탄핵안 통과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탄핵안 부결 시 소속 의원 각 121명, 38명 전원이 총사퇴하겠다는 당론을 채택했다. 정의당 역시 부결시 의원직 총사퇴와 국회 해산을 주장했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의총에서 “탄핵만이 유일한 국정정상화 방안이자 수습 방안이고, 적폐를 청산하고 역사를 다시 쓰는 길로 들어가는 입구”라며 “민주당은 오로지 국민과 역사적 중대한 책무만 생각하고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10여 가지 탄핵 사유 중에 세월호가 포함됐다고 해 부결시키겠다는 말은 도저히 이해할 수도 없고 용납할 수도 없다”면서 “그런 점에서 새누리당의 의원들이 현명하게 판단해줄 것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박 대통령과 청와대는 탄핵 표결 하루 전 긴장감이 흐르는 분위기 속에서 침묵을 지켰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탄핵이후 준비하고 있는 게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준비하고 있는 건 없고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