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산~옥정 광역철도에 민락·옥정역 신설하라”

의정부·양주 주민들 주장
학계·전문가 “무리한 요구”

의정부ㆍ양주지역 주민들이 낙후된 북부지역 발전과 안보차원에서 보상차원으로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노선에 민락역ㆍ옥정역 신설을 기본계획에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학계와 철도전문가들은 역 추가 신설 등 무리한 요구를 하면 내년 사업 추진이 늦어지고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다시 해야 하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현실적인 판단을 요구하고 있다.

 

13알 경기도 주관으로 의정부시 민방위 교육장에서 열린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타당성 평가 및 기본계획 주민공청회에 참석한 주민들은 이 같은 요구를 내놨다.

 

주민 질의응답에 앞서 지정토론자로 나선 김동선 대진대 교수는 “인덕원 수원노선도 기본계획을 협의하면서 역이 4개가 늘어 타당성 재조사가 이뤄지고 사업이 늦어지고 있다”며 “도봉산~옥정 광역철도도 장래 추가역 신설을 고려, 노선 변경은 가능하나 역 추가 신설 등 무리한 요구를 하면 내년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시곤 서울과학대 교수도 “예타 때 건설 금액의 20%가 넘으면 방법이 없다. 현재 기본계획안에는 탑석역을 신설, 의정부 경전철을 환승하도록 돼 있는 데 탑석역을 신설하지 않고 노선을 장암지구 밑으로 송산지구를 경유, 빠져나가도록 해 장차 장암역ㆍ민락역을 신설하는 것도 한 방안”이라고 제시했다.

 

박경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장암역, 민락역, 옥정역 등 모든 요구를 수용하면 1차 예타 신청 당시 이전인 12년 전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빠른 시일 내 사업이 추진되게 하든지 예타를 다시 하든지 선택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락역 추진카페 회원인 조모씨는 “의정부ㆍ양주시가 예타 통과에만 급급, 주민이 원하고 지역 발전을 꾀할 수 있는 노선과 역 신설이 배제됐다”며 “민락1~2지구와 고산지구 발전과 교통 등을 위해 민락역이 반드시 신설돼야 한다”고 건의했다. 

김종안 7호선 유치 양주 범시민연대 대표도 “예산상 제한이 있다면 경기북부차별 피해 보상차원에서 옥정역을 신설해달라”고 요구했다. 추모씨(의정부시 신곡동)는 “15만 명이 거주하는 장암동, 신곡동 등을 빼고 탑석역ㆍ옥정역으로 간다는 건 주민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기본계획용역을 맡은 유승훈 신성엔지니어링 전무는 “내년 상반기 기본계획 승인 및 설계 착수 등을 거쳐 내년 말께 착공, 오는 2023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봉산~옥정 광역철도사업(15.31㎞)은 사업비 6천964억 원이 투입되고 의정부에 탑석역, 양주에 고읍역 등 2개 역이 생긴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