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와 동두천, 연천을 거쳐 한탄강 수계로 흘러드는 신천 유역의 수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한강청이 한탄강 줄기인 신천의 지난해 3∼11월 평균 수질을 올해 같은 기간과 비교 분석한 결과, 대표적 수질지표인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40.9→31.3㎎/ℓ로 24% 감소했다. 또,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지난해 53.8㎎/ℓ에서 올해 36.1㎎/ℓ로 33% 줄어들었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산화제로 정화하는 데 소비되는 산소량을 뜻하는 것으로 COD가 클수록 그 물은 오염이 심하다. 게다가 총인(T-P)은 25%, 총질소(T-N)는 6% 줄어들었다. 특히, 신천 상류에 있는 염색업체 부근 수질의 아연(Zn) 농도는 90% 이상 저감(8∼11월 24→0.12㎎/ℓ)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천은 지난 1970년대까지 물고기가 뛰놀던 청정 하천이었지만, 198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소규모 영세 섬유ㆍ염색 업체가 난립, 수질은 급격히 악화했다.
환경부는 지난 2011년 이후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염색ㆍ피혁 등의 폐수배출사업장을 대규모 산업단지에 조성해 난립을 막았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질이 개선되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이에 한강청과 해당 지자체는 오염원을 파악하고자 간담회를 열어 소통하고 수질개선을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한강청은 하수종말처리장과 폐수배출업체에 대한 점검, 지자체는 산업단지 및 개별 공장에 대한 지도단속과 함께 자율환경감시단을 구성해 상시 감시에 나서 수질을 크게 호전시켰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