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농장 간이검사서 양성판정
市, 고병원성 여부 정밀조사 착수
주변 3㎞내 예방적 살처분 검토
동물원 폐쇄 등 선제적 조치로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지 않았던 인천에서도 AI가 발생,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6일 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5분께 서구 공촌동의 한 가금류 농장에서 AI가 의심된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해당 농장 농장주는 전날부터 사육하던 닭 5마리가 잇따라 폐사하고 목이 돌아가는 증상이 나타나 시가 운영 중인 가축방역대책상황실로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즉각 해당 농장에 가축방역관을 파견해 폐사체 간이검사 결과 AI 양성반응을 보인 것으로 판정했다. 시는 폐사체를 경북 김천의 농림축산검역본부로 보내 최종 양성 여부와 고병원성 확진 여부에 대한 정밀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또 해당 농가에서 사육 중인 닭 25마리와 반경 3㎞ 내에서 사육 중인 116마리의 가금류(닭·오리·꿩)를 예방적인 차원에서 전부 살처분하기로 했다. 향후 10㎞ 내의 가금류 농가에 대한 정밀 현황조사를 거쳐 예방적 살처분 실시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인천지역 방역을 더욱 강화해 AI 확산을 최대한 막아내기로 했다.
우선 시는 해당 농장 출입을 전면 통제하고 역학조사에 착수했다. 서구지역 8곳에 이동통제초소를 설치해 방역을 강화하는 한편, 지난 17일 발족한 AI 재난안전대책본부 인력을 7개 반 9명에서 13개 반 26명으로 늘려 감시체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농장주와 살처분 실시자들에 대한 인체감염 예방조치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날 가금류 농장에 투입된 인력은 모두 현장에서 발열 상태를 확인하고 독감 백신을 접종했으며,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를 복용하고 방역복 등 개인 안전 보호구 착용을 확인했다.
그러나 끝내 AI 청정지역 인천을 사수하지 못함에 따라 지역 가금류 농가에 큰 비상이 걸렸다. 인천지역에서 AI 가 확진된 것은 지난 2014년 옹진군 영흥도에서 발생한 이래 두번째다. 그러나 당시 AI는 야생조류에서 발생된 것으로 인천지역 농가에서 AI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셈이다.
당장 서구 공촌동과 3~10㎞ 떨어진 농가가 직격탄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구와 계양·부평구까지 포함하는 이들 지역에는 모두 61개 농가에 16만8천400마리의 가금류가 사육중이며 도계장도 1곳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AI가 조금이라도 확산되면 이들 농가에 사육 중인 가금류의 대량 살처분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시는 예방적 살처분 시행까지 검토하고 있는 상태다.
인천에서 가장 많은 가금류가 사육 중인 강화지역은 인접한 경기도 김포에 이어 서구지역까지 AI가 창궐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인천지역에는 모두 992개의 가금류 농장이 있는데 강화에만 733개 농가가 몰려있기 때문이다. 시는 강화지역 출입구와 같은 강화대교 및 초지대교에 운영 중인 거점소독시설 운영을 더욱 강화해 확산 차단에 주력하기로 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이날 폐사한 가금류 정밀조사 결과 확인까지 2~3일 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이지만, 확진에 준한 방역대책을 즉각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