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방교초 학부모 학교 건물 신축과 재난 안전시설 시범학교 지정 요구

개교 보름 만에 화재로 130여 명이 대피한 소동을 빚었던 화성시 동탄면 방교초등학교 화재와 관련, 부모들이 건물 신축과 함께 ‘재난 안전시설 시범학교’ 지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27일 이 학교 학부모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학부모 20여 명(A65블럭ㆍA66블럭)과 경찰ㆍ소방ㆍ교육청ㆍ학교ㆍ건물을 지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관계자 등은 인근 방교중학교에 모여 간담회를 가졌다.

 

학부모들은 이 자리에서 불이 난 행정동 건물의 신축과 재난안전시설 시범학교 지정을 요구했다. 불에 탄 건물을 재보수하고 수업을 진행하면 유해 물질을 아이들이 흡입할 가능성이 있고,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을 모두 갖춘 시범학교 지정을 통해 아이들 안전을 위한 상징적 사례를 만들자는 것이다.

 

현행 소방법은 스프링클러는 ‘4층 이상, 바닥면적 1천㎡ 이상 교육연구시설’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불이 난 학교 건물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행정동은 높이로는 4층 규모지만, 3층 강당 천장이 뚫려 있는 구조여서 LH가 건물을 3층으로 간주했다는 게 교육청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심리치료 비용도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교가 진행하는 심리치료 외 사설 심리치료도 필요한 상황인데 연간 30만 원, 1회 5만 원 등의 비용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교육청 관계자는 “본관 신축과 시범학교 지정 등 학부모의 요구 사항을 모두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6일 오전 10시께 방교초등학교 행정동 1층 주차장에서 불이 나 30여 분만에 건물 일부(1천982㎡)를 태우고 9억여 원(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를 냈다. 행정동에 있던 직원 2명과 행정동에서 50여 m 떨어진 교사동에서 수업을 받고 있던 학생 78명과 병설유치원생 35명, 직원 17명 등 132명 모두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조사를 의뢰했고, 학교와 LH 관계자들을 조사하고 있다.

 

화성=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