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맞춤형 사회복지센터 사회복지직 센터장은 ‘0명’

사회복지공무원 주민센터 근무 전문인력 활용 비효율적 지적

안산시가 정부 시책의 하나로 일부 동사무소(동주민센터)를 맞춤형 사회복지센터로 시범 운영하고 있으나, 사회복지직이 센터장인 사회복지센터는 단 한 곳도 없는 등 전문 인력을 적재적소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시와 복지센터 등에 따르면 시는 정부의 복지허브화정책에 의해 지난 2015년부터 전체 동사무소 25곳 가운데 본오1동 사무소와 월피동 사무소, 와동 사무소, 선부3동 사무소 등 4곳을 맞춤형 사회복지센터로 시범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맞춤형 사회복지센터 4곳 중 단 한곳도 센터장이 사회복지직이 근무하는 곳이 없다. 더구나 선부3동 사회복지센터는 센터장과 맞춤형 복지계장 모두 사회복지직이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호수동 사무소는 맞춤형 사회복지센터가 아닌데도 사회복지직이 동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지역에 사회복지 수급자(국민기초연급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포함)는 2만2천900여 가구에 3만7천880여 명에 이르고 있다. 사회복지센터로 시범 운영되고 있는 본오1동의 경우 2천440여 가구에 4천450여 명, 월피동은 1천780여 가구에 3천170여 명 등이 대상자이고, 단원구는 와동이 2천130여 가구에 3천530여 명, 선부3동은 1천190여 가구에 2천70여 명 등이 수급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사회복지직이 동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호수동사무소는 279 가구에 수급자 380여 명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수급자가 거주하고 있어 전문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한 게 사실이라며 촘촘한 인적 관계망 형성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호수동의 경우 상가 내 쪽방 등에 고시원 등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이 많은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