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公, 임직원 부패·비리 ‘얼룩’… ‘청렴 공기업’ 헛구호

예선업자 선정 과정 ‘甲질 횡포’ 논란 속 최근 5년간 임직원 100여명 부정행위 적발
협력사 향응·금품수수… 성폭력 실형도 지난해 청렴도 개선 노력 불구 ‘신뢰 먹칠’
CCTV 구매 관련 접대 비리 의혹 ‘홍역’

예선업 선정 과정에서 갑질 논란(본보 1월 12일자 8면)을 자초하고 있는 한국가스공사가 이번에는 청렴도를 둘러싸고 눈총을 받고 있다. 공사의 청렴도가 심각 수준에 이르면서 청렴을 최우선 가치로 설정하겠다던 공사 사장의 공언이 무색할 지경에 달했기 때문이다.

 

12일 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그동안 공사는 ‘부패 공기업’, ‘비리 백화점’이란 오명을 씻어내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고 강조해왔다. 지난해 ‘사규 부패영향평가를 위한 업무협약’을 국민권익위원회와 맺고 부패 취약요인을 지속적으로 발굴했으며, 해외사업 투명성 향상 등 5대 분야 16개 세부과제 44개 개선과제도 추진했다. 그 결과 2014~2015년 국민권익위원회의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은 가스공사는 지난해 3등급(보통)을 받았다.

 

그러나 가스공사의 청렴도 수준은 여전히 갈 길이 멀기만 한 상황이라는 진단이다. 실제로 최근 5년간 가스공사는 100여 명의 임직원이 각종 부정행위로 자체 징계를 받았다. 직무 관련 향응이나 금품수수는 물론 업무 관련 비리로 파면당한 경우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직원들이 뇌물수수나 성폭력으로 실형을 받기도 했다.

 

다소 청렴도 향상을 이끌어 낸 지난해에도 가스공사는 CCTV 구매와 관련해 직원들이 협력업체 직원들로부터 향응을 받은 의혹이 포착돼 홍역을 치렀다. 직원 37명이 감사원의 조사를 받았으며 감사 과정에서 2급 이상 직원 13명이 직위 해제됐다. 또 감사 과정에서는 직원들이 CCTV 업체로부터 주기적으로 향응이나 골프 접대, 회식비 등의 지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가스공사는 지난 2014년 1월 장석효 전 사장이 비리 혐의로 해임된 바 있다. 

당시 산업부는 전임 사장의 일탈을 가스 도입을 독점하는 내부구조적 비리로 파악했다. 가스공사는 2015년 서울대 교수 출신 이승훈 사장 취임 후 내부구조적 비리 문제에 메스를 대는 등 경영 혁신에 나섰다. 하지만 여러 비리 사건이 끊임없이 터지면서 이 사장의 경영 목표도 빨간 물이 켜진 모양새다.

 

가스공사 한 관계자는 “지난해 청렴도 평가 결과는 자체적인 청렴도 개선노력과 국민권익위원회와의 성공적인 협업결과가 반영된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내부 체질 개선에 힘써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